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공정한늑대206
공정한늑대20622.02.28

감정이입이 너무 심해요,이것도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나이
48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위장약
기저질환
없음

텔레비젼에서 슬퍼서 눈물 흘리는 장면을 보면,

얼마나 슬플까....하는 생각이 들면서,저두 눈물이 나요.

진짜 심할정도로.

현실 상황도 아니고,그냥 보고 지나는 드라마에서도 그래요.

드라마 보고 운다는게 있을수 있긴한데,

그냥 누가 우는 장면만 나와도 같이 눈물이 나요.

심지어는 사건 당사자들보다 더 슬프고,더 눈물이 나기도 하고,

어이없이 눈물이 나기도 해서,조금 슬픈 내용의 드라마는 볼수가 없어요. 주변 지인이 우는 모습만 봐도 눈물이 나기도 하고...어릴때부터 눈물이 많긴했는데 증상이 더 심해지는것 같애요.이게 병일까요?

이건 어떤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만약 진료를 보신다고 하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필요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 진료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느냐 없느냐로 판단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금씩은 불안, 감정, 강박 등의 정신적인 불편함을 다 가지고는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느냐 안주느냐가 중요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02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감정이입은 정상적인 감정반응입니다. 다만 우울감에 의해서도 해당 감정반응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감정적인 어려움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조울증, 우울증 등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단순히 감정이입이 심하다고 하여 그 자체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너무 걱정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감정 이입이 된다는 것이 정신 건강의 문제라 보이지는 않습니다. 누군가의 감정에 적절히 반응한다는 것이지요. 감정 이입이 되지 않아야 하는 순간에 눈물이 난다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에 반응하지 못하는 것이 더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다만 연세를 고려하면 갱년기에 있을 가능성이 높고 갱년기에는 감정의 기복이 심해질 수는 있답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은 병적인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증상이 병적인 상태로 보이지는 않고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에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