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이가 편식하는 습관이 들어서 밥 먹이기가 너무 힘드네요 그냥 고기만 먹는데 자녀가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이가 편식하는 습관이 있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가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돕기 위해 부모는 식사 시간에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음식을 경험하게 하며,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부모가 직접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함으로써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고, 아이와 함께 식사 계획을 세우며, 음식을 즐기는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특별히 잘 먹는 아이들은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식을 하기 마련인데요
부모님의 노력이 필요 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음식을 만들어 주세요. 자기가 만든 음식은 호기심에 맛을 보게 끔 되어 있고, 먹다 보면 입맛에 길들여집니다.
-잘 안먹는 음식은 잘게 다져서 잘 먹는 음식과 섞어서 줍니다.
-잘 먹는 아이들과 함께 먹으면 잘 먹으려고 노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렇게 편식을 하는 아이는(보통 먹지않는 음식) 대부분은 직접 맛보지 않은 음식인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모양이나 색깔이 이상해서 안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아이들이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 일부라도 참여할 수 있게끔 하면 편식을 없애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내가 만든 음식이라는 인식기의 머릿속에 강하게 박혀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집에서 요리할 때 사용하는 식재료를 집에서 직접 키워보고 그 야채들을 직접 먹어보는게 교육적으로 굉장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같이 요리를 해서 먹거나, 식재료를 오감으로 체험하여 채소 등 음식에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게 필요하며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 적은 양이라도 다양한 반찬을 먹을 수 있게끔 권유하고 실천할 때마다 격려해 주는 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야채를 싫어하는 편식을 하고 있어요
대한민국 부모님들의 최대 걱정 입니다
고기라도 잘 먹는 다니 다행 입니다 고기를 싫어 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맨밥만 먹는 아이도 있어요
우선 밥을 잘 먹으려면 간식을 먹는 시간을 잘 조정 해야 하고 아이가 활동을 많이
하여 체력이 소진 될 수 있도록 하면 밥도 잘 먹어요
단음식의 과자들은 꼭 식사를 하고 난 뒤에 먹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중요 합니다 식사 전 과자를 먹게 되면 밥먹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야채는 향이 강해서 잘 먹지 않으니 튀김을 해서 과자처럼 해주면 잘 먹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