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은 왜 세계적인 부자가 적은 건가요?

한국은 gdp규모로 하면 경제적으로 뛰어난 나라입니다. 그런데 세계 부자 순위에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한국은 왜 세계적인 부자가 적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가장 큰 이유는 주요 선진국은 오랫동안 자본이 축적되엇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시면 미국이나 유럽의 주요 선진국들 그리고 남미국가도 과거에는 한국보다 훨씬 잘 살았으며 이런 국가들은 기본적으로 100년이 넘게 항상 세계 최고의 국가였으며 당시 엄청난 양극화로 인하여 이렇게 축적된 자본으로 초고위층 부자가 많은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록펠러나 카네기 그리고 JP모건이라는 인물 모두 100년전의 인물입니다 즉 이런 자본이 축적된것이며 한국은 1960년대에도 OECD국가로부터 원조를 받던국가였고 경상수지적자도 1990년이전까지 적자였고 당시 박정희군사정권에도 적자수출로서 산업경쟁력을 키워오다가 1990년대 부터 경상수지 흑자로 되면서 겨우 자본이 축적된것이고 문제는 IMF가 오면서 이런 자본이 축적도 한번 날라가게 된것입니다.

    즉 이렇게 자본이 축적된 시기가 적다보니 세계에서 알아주는 부자가 적은것이며 거기다가 한국은 초대형기업의 그룹사로 재편이 되고 2000년대부터 2025년까지 미국과달리 대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전혀변화가 안될정도로 특정 그룹만이 국내 산업과 기업을 장악하는 재벌 오너그룹이므로 세계적인 부자가 적을 수 밖에 없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에선 왜 세계적인 부자가 적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우리나라에도 이재용씨 등 세계적인 부자가 있습니다.

    물론, 순위 권에 들어가는 사람은 적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GDP 규모는 크지만 부동산 중심 자산 구조와 높은 세율,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가 자산 집중을 제한합니다. IT, 금융, 제약 등 글로벌 확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은 것도 영향입니다. 창업, 벤처 성공 사례가 적고 자본시장 규모가 작아 세계 부자 순위 진입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대기업들의 순환출자 구조는 재벌 총수의 개인 재산이 상대적으로 적게 평가되는 주요 원인입니다. 총수 일가는 적은 지분으로 그룹 전체를 지배하기 때문에 개별 계열사의 가치가 총수의 개인 재산으로 온전히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미국과 같은 서구권 기업들은 창업자나 대주주가 높은 지분을 직접 소유하는 경우가 많아 기업 가치 상승이 개인의 순자산 증가로 직결됩니다.

    한국의 상속세 최고율은 50%로 최대주주 주식 상속 시에는 할증과세(최대 60%)까지 더해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일본 다음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이처럼 높은 상속세는 대규모 자산의 세습을 어렵게 만들고 상속 과정에서 경영권 방어를 위한 지분 매각 등을 초래해 부의 축적에 제약을 가합니다.

    한국 가계 자산은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가계 자산의 약 70~80%가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반면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가계 자산에서 금융자산(주식 등)의 비중이 50%를 넘는 경우가 ㅁ낳습니다. 주식은 기업의 성장에 따라 그 가치가 크게 변동하며 부를 폭발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반면, 부동산은 유동성이 낮아 단기간에 자산 규모를 크게 늘리기가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한국은 아직까지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미국은 IT, 바이오 등 신성장 분야에서 혁신적인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새로운 자수성가형 부자들을 배출하는 구조입니다. 이에 반해 한국은 소수의 대기업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해왔기때문에 새로운 부호가 등장하는 속도가 더디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gdp 순위가 13위 정도죠 미국이나 중국이 10배이상 높습니다 일본 독일 영국도 우리나라 2-3배는 되죠

    세계부자순위라는게 결국 경제력이 높은 나라에 집중이 될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 삼성전자가 시가총액이 420조 정도지만 미국에 400조 넘는 회사가 제법 많으니 어찌보면 우리나라 부자가 순위권에 없는건 당연한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