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를 하게 되면, 실제로 수익이 나는 경우가 많나요?
장기투자가 가장 좋다고 하는데, 사실상 국내증시에서 장기 투자할만한 상품이 있을까요?기업의 펀더멘탈 보다는 해외 이슈에 흔들리는 경우가 많은듯해서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펀더멘탈이 우수한 기업은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개별 종목보다는 분산투자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를 하게 되면 수익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시장은 역사적으로 우상향 해왔으며 장기투자는 심리적 안정과 복리효과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는 실제로 수익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A&P500 등 주요 주식시장은 연평균 약 10%의 수익률을 보여왔고, 20년 이상 투자시 손실 확률이 매우 낮아집니다. 통계적으로 장기 투자자의 80%-90%가 수익을 경험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의 경우 그 안정성이 높고, 변동성이 없는 상황에서 모아간다고 가정하면 수익률도 높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장기투자의 경우 미래의 성장가능성이 있는 기업이나, 실적은 좋지만, 실적에 비해 주가가 평가절하된 상황에서만 그 장기투자가 의미있다 생각합니다. 만약 불타기를 하다가 물려서 장기투자를 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장기투자의 것이 물려서하는것이라 의미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장기투자한지 몇년 된게 있지만 미국 증시 추종 상품입니다 국내 증시는 사실 과거 십수년 동안 박스권이었다가 이번에 이재명 대통령 당선이후 크게 오르는 중이죠 장기투자로 적합한지는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심 됩니다
보통 S&P500 이나 나스닥 지수 추종 ETF 같은거에 장기투자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심 됩니다
미국 증시는 과거 수십년 통계로 연 평균 7-8% 정도 수익률이 나왔다고 생각하심 되구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 투자하고자 한다면 장기투자 하는게 유리합니다.
큰 이슈가 없는한 주식은 우상향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직접투자 보다는 ETF에 투자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종목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지만,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비교했을때 확률적으로는 장기투자를 했을때 손실을 볼 확률이 낮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