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기회감염이란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HIV Virus가 가지고 있는 gp120번이 Th의 CD4를 인식하여 Th를 감염시키게 되면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기회감염의 가능성이 커진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기회감염이란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것처럼 HIV 감염 환자에서 면역세포 수와 기능이 감소하면서 기회감염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원래 일반적으로 사람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끊임없이 노출됩니다. 그러나 면역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대부분의 병원체는 바로 제거되는데요, 따라서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증상이나 감염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반면에 HIV는 표적 세포인 CD4+ T 보조 림프구(Th 세포)를 감염시키는데요 gp120 단백질이 숙주의 CD4와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로 침투하고 점차 Th 세포를 파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Th 세포 수가 감소하는데 B 세포와 세포독성 T 세포(CTL) 모두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즉 면역력이 약화되면 평소에는 무해하거나 쉽게 억제되는 병원체들이 증식할 수 있는데요, 이런 병원체는 기회를 타서 감염을 일으키므로 이를 기회감염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HIV 바이러스는 보조 T세포를 파괴해 면역 체계를 무너뜨립니다.

    참고로 보조 T세포는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을 지휘하는 '사령관'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이 세포가 HIV 감염으로 인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 면역 체계는 외부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없게 됩니다.

    그 결과, 건강한 사람에게는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 약한 미생물들조차 우리 몸의 면역 공백을 틈타 증식하며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기회감염입니다.

    즉, 평소에는 무해했던 미생물들이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 기회를 얻어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기회감염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HIV 감염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폐렴이나 칸디다증, 결핵 등이 대표적인 기회감염입니다.

  • 기회감염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병원성이 약하거나 무해하여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미생물이,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침입하여 심각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 체계의 핵심인 CD4+ T세포가 파괴되면서 신체의 방어 능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평소에는 문제가 되지 않던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이 활성화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