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24.04.23

우리나라에서 홀수보다 짝수를 불길한 숫자로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엘리베이터 4층을 F층으로 표기하는 이유를 찾아보다가 발견한 건데요.

우리나라는 홀수보다 짝수를 불길한 숫자로 여긴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4.23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양오행설에서 짝수는 음을 상징하고, 홀수는 양을 상징한다고 여깁니다.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은 음보다는 양을 더 선호하고, 음은 불길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짝수를 나타내는 '짝'이라는 단어가 '헤어지다, 갈라진다'는 뜻을 가진 단어와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짝수를 불길하게 생각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홀수와 짝수에 대한 가치관은 홀수는 '양의 수'로 여겼습니다. 홀수는 긍정적 에너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석탑은 3층, 5층, 7층 홀수층을 조성하고, 설날이 1월 1일, 삼짇날 3월 3일, 단오는 5월 5일 등 홀수로 구성하여 기념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로마" 에서 짝수를 둘로 쪼개지는 숫자라며 불길하게 여겨서

    "서양" 에서는 짝수를 불길하게 여겼습니다

    반면 동양에서는 짝수를 사이좋은 숫자라며 길하게 여겼으며

    4층이 F인것은 죽을 사 死하고 소리가 같아서 그런 것이지

    짝수라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짝수보다는 홀수를 선호 하는 것은 사실 이지만 중국 사람들은 짝수를 선호 합니다. 이것은 국가별로 나타나는 문화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엘이베이터에서 4대신 F 로 표기 된 것은 죽음을 의미하는 죽을 사자의 발음이 숫자 4와 유사 하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