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흑자 전환할 때 성장률 부분은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말 그대로 입니다. 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흑자로 전환될 때 대부분 주석에 흑자전환이라고만 쓰고 있는데요
이 부분을 숫자로 즉 성장률로 표기한다면 어떻게 표기하면 될런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흑자전환한 것을 성장률(수치, %)로 표시하려면, [(지금의 경상이익 - 과거의 경상이익) / 과거 경상이익] x 100 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될 때, 일반적인 성장률 계산은 다음의 이유로 직접 적용이 어렵습니다.
성장률은 ((당기-전기)/전기) x 100 입니다. 전기가 경상이익이 -50억원이고, 당기 경상이익이 +20억원이면 성장률은 -140%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바로 해석이 모순됩니다. 이익이 늘었는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음수를 기준으로 하는 성장률은 투자자에게 혼란만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액 증가율 대신 개선폭을 사용합니다. 경상이익 흑자전환(70억 원 개선) 이런 식이죠. 이게 제일 정확하고 오해 없으며, 실제 공시나 IR자료에서도 주로 쓰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성장률 공식은 금년도 실적에서 전년도 실적을 제외한 값에서 전년도실적을 나눈값입니다 여기서 x 100을 하시면 성장률이 나오게 됩니다.
문제는 분모가 음수가 되기 떄문에 (-)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성장률을 표기할때 절대값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전년도 경상이익이 -10억적자 이고 올해 20억 흑자라고 한다면 위의 공식에서 계산할경우 -300%가 나오게되는데 이를 절대값으로 300%하여서 대안적방법으로 고려되곤 합니다.
다만 이는 대안적방법이지 표준적인 성장률 계산방식은 아니며 보통은 -10억에서 20억으로 흑자전환되었다고 이야기하는게 일반적이며 굳이 성장률 표기를 하지 않는형태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치가 음수에서 양수로 바뀔거나 기준값(분모)이 음수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변화량/기준값 ×100% 공식을 적용하면 왜곡된 결과가 나옵니다.
따라서 성장률 계산이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합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때 이를 성장률(%)로 표기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음수에서 양수로 전환할 때 분모가 음수가 되므로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흑자전환, 전기 -100억에서 당기 +50억(흑자전환), 150억 개선 등과 같이 표기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바뀔 때는 성장률 계산이 왜곡될 수 있어요.
전기 값이 마이너스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장률 공식이 의미를 잃거든요.
그래서 흑자 전환이라는 표현이나, 이익 규모가 얼마나 개선됐는지를 금액으로 표현해요.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변경이 되어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수식을 통해서 +값이 나오면 흑자라고 판단하지만, 그것이 아닐 경우 성장률 옆에 (흑자) 라고 표시를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실무에서는 적자확대, 적자축소, 흑자확대, 흑자축소 등과 같이 내용을 기재를 하여 나타내기에 이러한 것이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의 실무상 회계상으로 혼란을 줄 지는 않을 거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