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큰곰아저씨
큰곰아저씨

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흑자 전환할 때 성장률 부분은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요?

성별
남성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기혼

안녕하세요.

말 그대로 입니다. 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흑자로 전환될 때 대부분 주석에 흑자전환이라고만 쓰고 있는데요

이 부분을 숫자로 즉 성장률로 표기한다면 어떻게 표기하면 될런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흑자전환한 것을 성장률(수치, %)로 표시하려면, [(지금의 경상이익 - 과거의 경상이익) / 과거 경상이익] x 100 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될 때, 일반적인 성장률 계산은 다음의 이유로 직접 적용이 어렵습니다.

    성장률은 ((당기-전기)/전기) x 100 입니다. 전기가 경상이익이 -50억원이고, 당기 경상이익이 +20억원이면 성장률은 -140%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바로 해석이 모순됩니다. 이익이 늘었는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음수를 기준으로 하는 성장률은 투자자에게 혼란만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액 증가율 대신 개선폭을 사용합니다. 경상이익 흑자전환(70억 원 개선) 이런 식이죠. 이게 제일 정확하고 오해 없으며, 실제 공시나 IR자료에서도 주로 쓰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성장률 공식은 금년도 실적에서 전년도 실적을 제외한 값에서 전년도실적을 나눈값입니다 여기서 x 100을 하시면 성장률이 나오게 됩니다.

    문제는 분모가 음수가 되기 떄문에 (-)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성장률을 표기할때 절대값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전년도 경상이익이 -10억적자 이고 올해 20억 흑자라고 한다면 위의 공식에서 계산할경우 -300%가 나오게되는데 이를 절대값으로 300%하여서 대안적방법으로 고려되곤 합니다.

    다만 이는 대안적방법이지 표준적인 성장률 계산방식은 아니며 보통은 -10억에서 20억으로 흑자전환되었다고 이야기하는게 일반적이며 굳이 성장률 표기를 하지 않는형태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치가 음수에서 양수로 바뀔거나 기준값(분모)이 음수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변화량/기준값 ×100% 공식을 적용하면 왜곡된 결과가 나옵니다.

    따라서 성장률 계산이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합니다.

  •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때 이를 성장률(%)로 표기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음수에서 양수로 전환할 때 분모가 음수가 되므로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흑자전환, 전기 -100억에서 당기 +50억(흑자전환), 150억 개선 등과 같이 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바뀔 때는 성장률 계산이 왜곡될 수 있어요.
    전기 값이 마이너스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장률 공식이 의미를 잃거든요.


    그래서 흑자 전환이라는 표현이나, 이익 규모가 얼마나 개선됐는지를 금액으로 표현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변경이 되어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수식을 통해서 +값이 나오면 흑자라고 판단하지만, 그것이 아닐 경우 성장률 옆에 (흑자) 라고 표시를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실무에서는 적자확대, 적자축소, 흑자확대, 흑자축소 등과 같이 내용을 기재를 하여 나타내기에 이러한 것이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의 실무상 회계상으로 혼란을 줄 지는 않을 거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