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그래디언트 치킨팝
그래디언트 치킨팝23.12.25

실눈을 뜨면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종종 잘 안보이는 사물을 볼 때 실눈을 뜨면 잘 보이더라고요.

왜 실눈을 떴을 때는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물이 더 잘 보이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5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눈을 뜨는 것이 사물을 더 잘 볼 수 있게 하는 이유는 몇 가지 물리적 및 생리적 요인들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1. 핀홀 카메라 효과 (Pinhole Camera Effect): 실눈을 뜨면 눈의 눈꺼풀이 핀홀처럼 작동하여 빛이 들어오는 개구부를 좁힙니다. 이것은 핀홀 카메라의 원리와 유사합니다. 작은 개구부를 통해 들어오는 빛은 더 집중되어 망막에 도달하므로, 이미지가 더 선명하게 초점이 맞춰집니다.

    2. 깊은 심도 (Depth of Field): 눈꺼풀이 좁혀지면서 빛의 경로가 제한되고, 이는 깊은 심도 효과를 가져옵니다. 깊은 심도는 더 많은 범위의 물체들이 동시에 초점에 잘 맞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가까운 사물과 먼 사물 모두가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3. 초점 조절: 실눈을 뜨면 눈의 수정체가 빛을 망막에 더 잘 초점 맞출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특히 노안이나 근시와 같은 시력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 방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4. 빛의 산란 감소: 실눈을 뜰 때, 눈꺼풀이 빛의 산란을 줄여줍니다. 이는 빛이 눈 내부의 불필요한 부위에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미지가 더 선명하게 보이게 합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실눈을 뜨면 더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되며, 이는 특히 빛이 부족하거나 시력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실눈을 자주 뜨는 것은 눈의 피로를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시력 문제가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진을 찍을때 촛점을 조절하여 카메라 조리게를 맞추듯이 우리의 눈도 잘보이지 않으면 눈을 찌뿌려 촛점을 맞추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사물이 보이는 ‘3단계’를 알아봅시다. 우리가 무언가를 보면 그 물체의 빛이 ‘각막’을 통과하고, ‘수정체’라는 거울같은 조직을 통과해 ‘망막’에 상을 맺음으로써 빛의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빛을 잘 보려면 초점이 망막에 잘 잡혀야 하는데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는 ‘근시’, 또는 초점이 망막 뒤에 맺히는 '원시'가 되면 물감이 번진 것처럼 사물이 흐릿 하게 보여요. 이때 두 눈을 찌푸리는 ‘실눈’ 상태로 뜨면 눈으로 들어오는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빛의 양이 적어서 좀 어둡게 보이지만수정체의 면을 적게 쓰게 되면서 빛의 ‘퍼짐’이 감소하고, 비교적 망막에 잘 맺히게 되어 상이 번져 보이는 현상이 없어 지고 잘 보이게 됩니다. 카메라로 밝은 곳을 촬영할 때, 조리개를 꽉 조여서 빛을 조금만 들어오게 하면 멀리 있는 사물까지도 잘 찍히는 것과 같은 원리이죠. 또한, 눈을 깜빡깜빡하면 눈물이 각막 표면을 타고 골고루 퍼지는데요. 이 눈물이 안구에 있는 수많은 이물질과 세균을 씻어줍니다. 비 오는 날에 자동차 와이퍼로 유리를 닦는 것처럼, 눈물이 눈의 먼지들을 깨끗하게 걷어주고, 각막이 깨끗해져서 일시적으로 잘 보이는 것이랍니다.

    출처 : YTN 사이언스 블로그 - 실눈을 뜨면 더 잘보이는 이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두 눈을 찌푸리는 실눈 상태로 뜨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빛의 양이 적어서 좀 어둡게 보이지만, 수정체의 면을 적게 쓰면서 빛의 '펴짐'이 감소하고, 비교적 망막에 잘 맺히게 되어 상이 번져 보이는 현상이 감소해서 잘 보이게 됩니다. 카메라로 밝은 곳을 촬영할 때 조리개를 꽉 조여서 빛을 조금만 들어오게 하면 멀리 있는 사물까지도 잘 찍히는 것과 같은 원리이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정체를 더 얇게 만들어서 초점 거리를 더 멀리 볼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눈을 실눈을 뜨는 것입니다.

    빛의 입사각도를 제한하여 더 명확한 초점을 만들어줍니다.

    실눈을 뜨면 동공이 좁아지면서 깊이감이 증가합니다. 카메라의 조리개가 좁을 때 깊이감이 늘어나느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미간을 찌뿌리면 그만큼 빛은 반사되는 양이 줄어들어 형태의 왜곡이 줄어들어 또렷히 보이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눈을 뜨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정체의 굴절이 감소하여 빛이 망막에 정확히 맺히게 됩니다. 그 결과 망막에 맺힌 상이 선명해져서 사물이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눈을 떴을 때 사물이 더 잘 보이는 것은 주변 조명과 시선의 초점에 의한 것입니다. 실눈을 뜨면 눈의 동공이 확장되어 빛을 더 많이 받게 됩니다. 이는 주변 조명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눈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동시에, 눈의 초점도 조절되어 사물에 더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실눈을 떴을 때는 눈꺼풀이 열려 있고, 눈물이 더 잘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표면이 습하게 유지됩니다. 이로 인해 사물과 눈의 표면 간의 빛의 반사가 줄어들어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눈을 뜨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빛의 양이 줄어들면,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지 않더라도 망막에 번지듯 맺히는 현상이 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선명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눈을 뜨게 되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든다면 같은 상이라고 해도 빛에 의해서 번지는 현상이 덜하기 때문에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