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T850모델
T850모델

저혈압이 온경우, 병원가야 되는지 문의드려요

성별
여성
나이대
67
기저질환
고혈압,고지혈증,당뇨
복용중인 약
트윈스타정40/5mg, 아토스타정 10mg, 케이캡정 50mg

안녕하세요

수술후 예방항암치료를 받다보니 그로인한 여러가지 부작용중의 하나인듯 싶은데요, 평상시에 고혈압약 (트윈스타정 40/5mg),고지혈증약(아토스타정 10mg),당뇨약은 같이 복용중인뎅ᆢ.오늘 갑자기 어지러워서 혈압을 재보니 85/50 이 나왔다고 하더라구요,어지럽기까지 해서 일단 집에서 쉬는중인데요. 이런경우 고혈압약을 계속 복용해야하는건지,용량을 낮춰야 하는건지 궁금하구요, 저혈압이 오는 경우, 인근 병원 진료를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어떤 처방을 받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트윈스타 40/5 mg 를 복용하는데 혈압이 낮게 나온 상태로 약을 감량하거나 둘중에 하나를 (트윈스타가 2개의 혈압약이 합쳐져 있는 약입니다) 중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여러 치료를 받고 계신 상황이고, 혈압약도 복용중이신데 혈압이 오히려 낮아져서 고민스러우시군요. 최근의 치료를 받으시면서 혈압이 더욱 떨어질만한 상황이 유발되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저혈압을 유발하는 경우에 고혈압 약제의 변경이나 용량 변경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혈압 약을 처방받는 병원을 방문하여 약제를 조절하셔야 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고혈압약을 드시는 중 발생한 저혈압은 약제 유발성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치의와 상의해서 고혈압약을 감량하는 등의 조치에 대해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 저혈압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급성 저혈압의 치료는 원인을 찾아내어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위장관 출혈로 인한 급성 저혈압은 수혈과 함께 출혈의 원인을 찾아내어 출혈을 멈추어야 합니다. 발열을 동반한 패혈성 쇼크의 경우 감염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균제 치료 및 조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자율신경계 이상 반응으로 발생하는 미주신경성 실신에는 염산미도드린(미드론정)이 대표적인 약물로 사용됩니다. 이 약은 정맥에 작용하여 저혈압 증상을 완화하고 혈압이 내려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자율신경 이상으로 인한 저혈압 치료에는 성상신경절 차단 치료 요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시행하면 저혈압을 정상치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는 원인을 파악하고 교정할 수 있다면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이나 당뇨병 등 원인을 해결하기 어렵다면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천천히 일어나도 어지러움이 지속되면 잠시 쉬었다가 증상이 없어지면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탄력 스타킹(압박 스타킹: 30mmHg)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혈압 측정 시 항상 저혈압이면서 별다른 증상이 없다면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이나 실신이 발생하면서 평소보다 혈압이 매우 낮게 측정된다면 급성 저혈압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혈압 상태에서는 누워 있는 것이 좋으며, 다리를 높게 유지하면 효과가 큽니다. 즉, 저혈압일 때는 다리를 들어올리고 누워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