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22.01.02

물이 얼게되면 왜 부피가 증가하나요?

물을 얼리게되면 액체일때보다도 더 부피가 커지는데요 이유가 뭔가요? 같은 물질이라도 얼려서 고체가 되면 모든 물질이 공통적으로 부피가 커지게 되는건가요? 고체가 녹아 액체로되면 다시 원래의 부피로 돌아오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럭셔리한테리어300
    럭셔리한테리어300
    22.01.02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액체상태가 고체상태에 비해 에너지가 높은 상태이므로 고체상태에서 분자들간의 거리가 더 가깝게 되므로 부피가 감소합니다.

    그러나 물은 특이하게도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될때 물분자들이 육각구조로 배열되면서 가운데 빈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액체 상태에 비해서 부피가 커집니다. 이는 물이 가지는 특이한 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의 물질들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물은 고체가 되면 부피가 커집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 정육면체의 형태로 분자구조가 결정되기 때문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요.

    그 빈 공간 때문에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참고로 액체 상태일 때 물은 4도에서 가장 부피가 작습니다.

  •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액체에서 고체가 됐을때 부피가 커지는 것은 물(H2O)의 대표적인 성질인데요. 이는 물의 분자 구조가 얼음(고체)가 되면서 생기는 배열이 더 부피가 커지는 구조가 되기 때문입니다. (아래 참고할 그림을 첨부했습니다.) 또한 다시 물로 녹게 되면 처음의 물의 부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보통 다른 물질들은 액체가 고체가 되면 부피가 감소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영광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어는 과장에서 물 분자는 육각형 모양의 수소결합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물보다 얼음의 부피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는 수소결합을 하지 않는 다른 물질에는 적용 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