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주 4일 근무제를 하면 우리 경제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지금 현재 주 5일근무제를 하고 있는데요 혹시나 주 4일이 되게 된다면 아무래도 일하는 날이 적어 질 건데, 우리 경제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 4일 근무제로 전환하면 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어 소비가 증가하고, 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으로 직원의 만족도가 높아져 기업의 효율성도 증가하며, 이는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4일 근무하면 좋긴하겠지만 일단 가장 걱정스러운게 직장인으로서 주4일 근무하면 월급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러니 주4일근무 전제 조건이 월급유지겠죠 그런데 기업도 주4일 근무하면서 월급다 주면 남는게 있을가 싶어요

    그래서 저는 그냥 주5일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근무일을 줄이게 되면 아무래도 장단점이 명확합니다. 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또한 일에 대한 집중도가 올라가서 효율성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근무 일수가 줄어들면 총 생산량은 대부분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경제 전체의 규모가 줄어들 수 있고 이것을 메꾸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고용이 필요해서 비용 증가 요소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4일제 근무는 일단 근로자들의 근로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개인적인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정서적 안정이 기대됩니다.

    또한 휴식시간이 증가하여 여행 등 개인 여가활동시간 확대로 가계의 소비가 증대되어 소상공인 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4일 근무제를 하면 우리 경제에 어떻게 도움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4일 근무제가 만약에 실행이 된다면 내수 시장이 더 활발하게

    발달될 가능성이 있어서 경제 성장에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 4일 근무자는 경제 쪽으로 볼 수가 없고 복지 쪽으로 봐야 합니다 급여가 약간 줄어도 유연하게 나의 삶을 살겠다 하는 사람들끼리 만나서 결혼을 하고 육아를 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저출생 국가가 된 것이 바로 노동계를 짓밟는 기업 문화 때문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 4일 근무제는 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순환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먼저, 근무 시간이 줄어들면 노동자들은 여가 시간이 증가해 개인의 행복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교육, 여행, 취미 활동 등에 더 많은 소비를 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는 관광업, 문화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적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자리 나누기 효과로 인해 고용률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성이 향상된 근무 환경을 통해 업무 효율이 높아지고, 직원의 만족도가 상승하면서 이직률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책 시행 시 기업의 부담 완화 및 중소기업 지원 방안이 함께 논의되어야 안정적인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주 4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생산성 증가, 직원의 신체 및 정신 건강 개선, 그리고 탄소 배출 감소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에서는 주 4일 근무제 시범 운영 결과, 직원들의 생산성이 증가하고, 업무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일본의 마이크로소프트는 주 4일 근무제를 도입한 후 생산성이 40%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주 4일 근무제가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와 영국에서는 노동 시장의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중간 계층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저임금 일자리와 고임금 일자리 간의 격차가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