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해가 떠 있음에도 비가오는건 어떻게 된걸까요?

비는 분명 비구름이 있어야 내리는 것일텐데.

간혹 해가 떠 있음에도 비가 내리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것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23.09.01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대기중의 수분 함유량이 늘어난 상태로 해가 나도 구름 형성이 쉽게 되어 해가 난 상태에서 비가 자주 내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이 위치한 높은 곳에서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입니다.

    실제 비구름은 강우지역과 떨어진 곳에 있지만, 강한 바람으로 강우가 가능한 구름입자가 바람에 날려 강우지역에 비로 내리게 되는 것이죠.


  • 해가 떠 있는 상황에서도 비가 내리는 현상은 대기 중의 다양한 기상 조건과 현상들로 설명됩니다. 해가 떠 있는 동안에도 구름이 형성되고 강수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기 중의 수증기 포화도: 해가 떠 있을 때에도 대기 중에는 수증기가 존재합니다. 대기 중의 온도와 상대습도에 따라 수증기 포화도가 달라집니다. 만약 대기 중의 수증기 포화도가 높아지면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구름 내부에서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형성되며, 이것이 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대류 현상: 대기 중의 온도와 기압 차이로 인해 대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뜨거운 대기가 상승하여 높은 고도에서 식으면서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름이 충분히 발달하면 비가 내리게 됩니다.

    3. 전선: 해가 떠 있는 동안에도 지구의 표면에서는 다양한 지형 및 바람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온도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온도 차이로 인해 전선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전선이 발생하면 온도, 습도, 대기 압력의 변화가 비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상층 풍: 해가 떠 있는 동안에도 대기의 상층부에서는 다양한 풍류가 존재합니다. 상층 풍은 대기의 수증기, 열, 냉기 등을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상층 풍이 구름의 형성과 강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해가 떠 있는 동안에도 다양한 기상 조건과 대기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비가 내리는 현상은 지구의 기후 및 기상 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이에 대한 이해는 기상학과 기후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려면 비구름이 있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비구름은 반드시 흐린 날씨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해가 떠 있는 날에도 비구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해가 떠 있는 날에도 비가 내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대류 현상에 의한 것입니다. 대류 현상이란 지면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공기가 가벼워지고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상승하는 공기는 찬 공기와 만나면서 상층부로 이동하게 됩니다. 상층부에는 찬 공기가 있기 때문에, 상승하는 공기는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구름이 비구름이 되며,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전선에 의한 것입니다. 전선이란 기압이 서로 다른 두 기단이 만나는 경계를 말합니다. 전선이 지나갈 때에는 기압차로 인해 강한 바람이 불게 되고, 이 바람에 의해 구름이 형성되어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떠 있는 상황에서 비가 오는 경우, 대기 중에 습기와 물 기체인 수증기가 존재합니다. 이 습기는 일정한 조건 하에서 응결되어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구름은 고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비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 변화는 기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안 지역이나 습지 등에서는 바다나 호수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로 인해 비가 오는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은 일반적으로 기후적으로 습하며, 해수증발과 함께 공급되는 습기 때문입니다.대류와 전선 등의 기상현상은 해뜨고 있는 동안에도 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류란 공기의 상승과 하강으로 인한 운동입니다. 태양열로 가열된 토지나 바다에서 상승하는 공기는 상승하는 동안 식습관을 경험하면서 구름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비를 낳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비는 분명 비구름이 있어야 내리는 것일텐데, 간혹 해가 떠 있음에도 비가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능합니다.

    • 열대성 저기압: 열대성 저기압은 태평양이나 대서양의 따뜻한 해수면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입니다. 열대성 저기압은 매우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며, 태풍이나 허리케인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열대성 저기압은 해수면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삼기 때문에, 해가 떠 있어도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 전선: 전선은 두 가지 다른 기압계가 만나는 경계선입니다. 전선은 대체로 비를 동반하며, 해가 떠 있어도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 산악 지역: 산악 지역에서는 해가 떠 있어도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산은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응결을 유도합니다. 따라서 산악 지역에서는 잦은 강우가 발생합니다.

    이외에도, 지형이나 기압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해가 떠 있어도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눈에 보이지 않는 더 높은곳에서 형성되서 비가 올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바람이 강해 멀리떨어진 곳에서의 비가 바람에 날려오는걸수도 있지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됩니다. 이 구름은 고기압이나 저기압과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가 떠 있을 때에도 앞서 형성된 비구름이 지나가면 비가 올 수 있습니다비는 원거리에서 형성된 구름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습니다. 특히, 태풍이나 저기압과 같은 기상 현상이 원거리에서 비를 운반하여 일정 지역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떠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를 일컫는 말. 영어로는 Sun shower라고 부른다. 반대로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났다가 숨어 버리는 볕을 '여우볕'이라고 한다.


    소나기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여우비는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에 내리고, 소나기는 비구름이 있는 어두운 날씨에 내린다는 것.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빗방울이 땅으로 떨어지기 전에 비구름이 소멸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했기 때문인데, 구름이 소멸하거나 이동하는 이유는 대기가 높은 곳에서 강한 돌풍이 몰아치기 때문이다. 비구름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으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빗방울이 구름이 끼지 않은 맑은 곳까지 배달되기 때문.


    여우비는 일반적인 비보다 햇빛이 공기 중 빗방울과 마주하기 쉽기 때문에 그만큼 무지개가 보일 가능성이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