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도아빠
우도아빠24.02.19

해가 뜬 상태에서 비가오는 현상은 무엇인가요?

가끔씩 해가 쨍쨍한데 비가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늘에 먹구름이 있는 것도 아닌데 비가 오던데 이것은 어떤 현상인가요? 그리고 만약 날씨가 춥다면 해가 뜬상태에서 눈이 올수도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비추면서 비가 떨어지는 이유는 빗방울이 땅으로 떨어지기 전에 비구름이 소멸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했기 때문인데, 구름이 소멸하거나 이동하는 이유는 대기가 높은 곳에서 강한 돌풍이 몰아치기 때문입니다. 비구름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으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빗방울이 구름이 끼지 않은 맑은 곳으로 떨어질수 도 있구요. 이 비가 만약에 내리면서 대기의 낮은 온도와 맞닿았다면 눈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뜬 상태에서


    비가 오는 현상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해우입니다.


    해우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뇌우입니다.


    해우는 주로 오후에 발생하며, 짧은 시간 동안 굵은 비와 함께 강풍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해가 뜨고 있는 동안 해우가 발생하면 해빛을 가리면서 어두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오뇌우는 뚜렷한 계절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여름철에 발생합니다.


    강한 햇빛에 의해 땅이 뜨거워지면서 형성되는 열상승 기류가 원인이 됩니다.


    정오뇌우는 해가 뜨고 있는 낮 시간에 발생하며


    해우보다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강한 뇌우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산악 지형에서는 해가 뜨고 있는 낮 시간에도 비가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산맥에 부딪힌 바람이 상승하면서 응결되어 비가 내리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경우 해가 뜨고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비가 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선의 영향으로 해가 뜬 상태에서 비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나는 전선 부근에서는 뇌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해가 뜨고 있는 낮 시간에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해안가에서 발생하는 해안 안개가 해가 뜬 상태에서 비처럼 내리는 경우도 있으며


    미세먼지나 황사가 비와 함께 섞여 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가 뜬 상태에서 비가 오는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지역과 계절, 기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