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두께가 굵으면 저항이 작아진다고 하는데요. 그럼 전류의 흐름이 커져서 발열도 적고 좋다고 하는데요. 그럼 여러선을 꼬아서 만든것도 두께는 두꺼워 지니깐 좋나요??
전선의 두께가 굵으면 저항이 작아진다고 하는데요. 그럼 전류의 흐름이 커져서 발열도 적고 좋다고 하는데요. 그럼 여러선을 꼬아서 만든것도 두께는 두꺼워 지니깐 좋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여러 가는 선을 꼬아서 만든 전선도 전체 단면적이 굵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굵은 단선과 비슷하게 전류를 잘 흘릴 수 있습니다. 게다가 꼰 전선은 더 유연해서 꺾이거나 움직일 때 잘 버티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전기배석에는 한 가닥 굵은 선 보다 여러 가닥을 꼬은 연선이 많이 쓰이고 발열도 줄어들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여러가닥이라고 해서 각 가닥마다 전류가 흐르는것이 아니라 그 가닥이 모여서 하나로 된것처럼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전선이 여러가닥 꼬여서 있어도 결국 하나와 같이 흐르기 떄문에 단일 가닥의 두께와 여러가닥의 두꼐가 같으면 저항이 낮아지고 전류의 흐름이 좋아지게 됩니다. 저항이 작으니 발열도 적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선을 꼬아서 묶는건 두께를 증강시키기위함뿐이죠. 일반적으로 꼬아서 제작하나 꼬아묶지 않고 그냥 펴서 나오는 전선도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건 굵기 그 자체인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을 여러 가닥 꼬아서 만든 연선은 같은 굵기의 단선보다 유연하면서도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확보되어 저항이 작습니다즉 굵기가같다고 전류 용량은 비슷하지만 연선은 표면적이 넓어 발연 분산에 유리하고 단선보다 내구성이 좋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여러 가닥을 모은다고 무조건 전류가 더 흐르는 건 아니고 전체 단면적 굵기에 따라 성능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당연히 두께가 두꺼워지며 저항이 작게 작용하게 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우리가 사용하는 전선은 연선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선은 휘어지기 어렵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일단 전선이 굵으면 발열이 적고 전선 단면적이 늘어나니 저항도 줄어듭니다. 길게 깔아도 전력손실도 적고 허용전류값도 늘어납니다. 전선의 단면적이 크다 즉 굵으면 이점이 많습니다 다만 금액대가 점점 비싸지죠! 질문자님 질문 주신것 처럼 여러저선을 꼬으면 단면적이 크고 굵어지니 똑같지 않느냐라는 말씀이신데 사실 그렇게 꼬아서는 굵은전선으로 나온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수 없습니다. 여러선을 꼬으면 접촉 저항이 생기고 그로인해 전휴가 균등하게 흘러가지 못합니다. 특정 전선라인에만 전류가 흐르면 발열이 생기고 위험할수도 있습니다. 여러선을 꼬아서 쓰는것이 아닌 규격에 맞는 굵은 전선을 사용하시는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여러 전선을 꼬아 만든 경우에도 전체 굵기가 두꺼워져 저항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하지만 꼬인 전선이 단일 굵은 전선과 다리 꼬임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