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카의 최대속도가 많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몇십년전에도 시속 300km/h 수준의 슈퍼카가 있었고,
최근에도 부가티 같은 곳에서 시속 400km/h 수준의 슈퍼카는 나오는것 같은데
500km/h 수준으로는 왜 아직 안나오고 있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500km/h 수준의 속도를 달성하려면,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엔진의 출력이 충분히 크고 경량화되어야 하며, 바퀴와 타이어도 고속 주행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합니다. 또한, 고속 주행 시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로다이내믹 디자인도 매우 중요합니다. -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하더라도, 500km/h 수준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실제 상용화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400km/h 수준이나 그 이하의 속도로 주행하는 슈퍼카가 대부분입니다. - 또한, 속도가 높아질수록, 브레이크, 스티어링 등의 조작에 대한 반응 속도도 빨라져야 하며, 이에 따라 드라이버의 실력과 경험도 매우 중요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 500km/h 수준의 슈퍼카는 나오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용 - 500km/h 수준의 슈퍼카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데는 엄청난 비용이 듭니다. 엔진, 타이어, 서스펜션 등 모든 부품을 최고급으로 장착해야 하며, 공기역학적 디자인도 최적화해야 합니다. 또한, 테스트를 위해 고속주행 테스트 트랙을 필요로 합니다. - 안전 - 500km/h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는 제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할 때는 공기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자동차가 안정적으로 주행하기가 어렵습니다. - 규제 - 많은 나라에서 500km/h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도로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 이러한 이유로 500km/h 수준의 슈퍼카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공기 저항에 직면합니다. 공기 저항은 차체와 공기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 저항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공기 저항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므로 최대속도에 제한이 생깁니다. 또 슈퍼카는 고속 주행을 위해 특수한 고성능 타이어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타이어는 고속 주행에도 불구하고 마찰과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이어의 내구성과 열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어 최대속도에 제한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 속도가 빠른 슈퍼카의 경우 고속 주행시 아주 작은 떨림이나 흔들림에도 큰사고가 날수 있습니다. - 도로 상황에 맞춰서 개발되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 또한 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면 차량이 양력등의 이유로 상승할 위험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생각해야하지 않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