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4.01.16

우리나라 민속스포츠 씨름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설추서 명절때가 되면 빠질수 없는 전통스포츠는 누가 뭐래도 씨름인데요. 이런 씨름은 우리나라에서 언제 어떻게 시작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씨름은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룬다는 말인 '씨룬다. '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속설에는 '씨의 겨룸'으로 보아 남자들끼리의 힘겨룸을 가리키는것으로 보기도 한다고합니다. 씨름은 그 긴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이름이 있는데, 주로 각저·각희·상박으로 불렸다고 하며 그러다 15세기 이후로 '실훔'에서 '실홈'을 거쳐 '씨름'이 되었다고합니다. 4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만주의 고구려 고분 각저총과 5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보는 장천 1호 무덤에는 씨름을 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 있는걸로 보아 이미 고구려 때 씨름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고있으며 현대의 씨름 경기는 1920년대에는 전성기를 누렸다고볼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씨름은 이미 상고시대부터 시작된 운동 경기로, 형성 과정은 알 수 없으나 각종 기록을 통해 역사를 대강 알 수 있습니다. 4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만주의 고구려 고분 각저총과 5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보는 장천 1호 무덤에는 씨름을 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고구려 때 씨름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본서기에서는 백제 사신이 왜국에 갔을 때 일본 대왕(오오키미)가 연회를 열었고 백제 사신 앞에서 왜인 무술인 둘을 스모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백제에서도 씨름을 했던 것을 유추해 볼 수 볼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씨름의 어원은 아직 확실한 정설은 없으나, 서로 버티면서 힘을 겨룬다는 뜻의 영남 사투리 '씨룬다'에서 파생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서 씨름하는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씨름은 삼국시대 이전에 성행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