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이는 왜 실험을 강조하고 뉴턴은 왜 실험보다는 수학을 강조햇나요?
갈릴레이는 이론적인 중심보다는 실험 사고를 매우 중시했다고 들엇는데요 그렇다면 반대로 뉴턴은 왜 수학을 더 강조하였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갈릴레이와 뉴턴은 모두 근대 과학의 기초를 세운 인물들이지만, 과학을 접근하는 방식에서는 중요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먼저 갈릴레이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에 활동하면서,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자연관을 극복하고 새로운 과학적 방법론을 제시한 인물입니다. 당시까지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주로 철학적 추론이나 고전 문헌에 의존하는 방식이었고, 실험을 통한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갈릴레이는 이러한 기존 방식을 비판하고, 직접 관찰과 실험을 통해 자연 법칙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경사면 실험, 진자 운동, 낙하 실험 등을 통해 물체의 운동 법칙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잘못된 이론들을 반박하였습니다.
그의 접근은 경험적 사실에 기초한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실험이 진리를 찾는 핵심 수단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면 뉴턴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하면서 갈릴레이와 같은 실험적 전통을 바탕으로, 과학을 보다 정밀하고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수준으로 발전시켰습니다.
뉴턴은 이미 갈릴레이나 케플러 등의 관측·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된 지식을 종합하여, 수학적 원리로 자연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그의 대표작 『프린키피아(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뉴턴은 만유인력과 운동 법칙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기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천체의 운동부터 지상의 물체 운동까지 통합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뉴턴에게 있어서 실험은 여전히 중요했지만, 그는 자연의 근본 법칙은 수학이라는 언어로 표현되어야만 진정한 과학이 된다고 믿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