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07.28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을 예전에 책으로 본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자세히 기억이 안 나는데,

경제학적으로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기적인 개인의 사사로운 영리활동이 사회 전체의 공적 이익을 증진시킨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국 자유경쟁시장은 생산자가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움직이도록 만듭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중앙에 앉아 어느 재화를 어느 정도 생산할지를 계획하는 사람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미스는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이루는 시장기능을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s)’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책은 국부론에서 언급한 '보이지 않는 손'의 경제학적 내용으로 판단되며 해당 내용을 중심으로 추가로 다른 책에서 언급한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참고로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서는 애덤스미스가 3권의 책 즉 철학논집, 도덕감정론, 국부론에서 각각 다르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국부론에서는 이기심이나 생활 개선 본능이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봤습니다. 우리가 아는 보이지 않는 손은 이기심을 갖고 사는 사람들을 그냥 내버려 둬도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 자본주의가 잘 운용된다는 뜻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덕감정론에서는 인간이 이기심의 본능에 따라 행동하는 건 맞지만 동시에 본래 ‘동감’에 따른 사회적 동물의 속성이 있어서 자발적 질서가 형성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동감에 근거한 정의감과 법과 제도 개선이 있을 때 이기심에 따라 움직이는 경제활동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의미로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는고 말하고 있습니다.

    위 내용은 애덤 스미스 연구 김광수 교수님의 의견을 참조하여 저의 생각을 적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영국의 정치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주장한 시장 가격 흐름의 자연스러운 효율성입니다.

    자유 방임 주의 경제 체제에서 국가는 시장에 간섭하지 않고 치안과 국방을 담당하는 야경국가의 역할만을 해야하며 국가가 시장의 흐름에 개입하지 않는 대신 시장은 보이지 않는 손, 즉 가격에 의해 자동으로 효율성을 유지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시장의 효율성 유지 이론은, 외부 효과 또는 독과점에 의한 시장 실패가 있는 경우에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의 수요-공급에 의해 자연스럽게 시장가격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가상의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결국 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시장 경제가 작동할 것이므로 정부의 개입은 최소화 해야한다 이런 논리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