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11.23

남사당패 6마당은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나요?

남사당패의 6마당은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항목별로 상세히 알려주시면 이해하기 더 좋을 것같아요

6마당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사당패의 놀이는 풍물,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음), 덜미(꼭두각시놀음) 등 여섯 종목이 남아 전한다. 얼른(요술) 등의 종목은 이미 사라졌다. 이 6가지 놀이는 대략 밤 9시부터 다음날 새벽 3∼4시까지 연희되어 총 6∼7시간을 공연하였지만 현재는 2∼3시간 정도로 축소 연희되고 있다.


    풍물

    마을 단위의 농악대와는 달리 일년 열두달을 계속하며, 이를 직업으로 하는 농악놀이이다. 풍물은 남사당놀이의 대표격으로, 숙련된 남사당들의 체기(體技)를 겸한 춤사위와 가락은 전라도나 경상도의 가락인 아랫다리 가락에 비해 윗다리가락의 대표적인 가락으로 힘차고 절도가 있다. 특히 무동(舞童)춤은 5무동 이상이 아슬아슬한 묘기를 하며, 상무의 극치인 열두발 상모를 끝으로 한다. 일종의 농악인 인사굿으로 시작하여 돌림벅구·선소리판·당산벌림·양상치기 등 24판 내외의 판굿을 돈다음 상쇠놀이·따벅구(벅구놀이)·징놀이·북놀이·새미받기·채상놀이 등의 순서로 농악을 친다. 이 풍물은 웃다리 가락(충청·경기·이북지방)을 바탕으로 하며 꽹과리·북·징·장구·날라리 땡각(令角)의 잽이(악사)와 법고 등을 포함한 최소 24명 정도가 일조를 이루는데 짜임새 있는 진풀이와 동니·채상 등의 몸재주와 묘기를 가미하여 연희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버나(사발돌리기)

    담뱃대나 나무끝 또는 칼끝으로 사발이나 쳇바퀴를 자유자재로 돌리며 묘기를 부리는 기예(技藝)로서 역시 풍물반주로 진행된다. 이 놀이의 묘미는 접시 등을 돌리는 외에 돌리는 사람인 버나잽이와 받는 소리꾼인 매호씨(어릿광대)가 주고 받는 재담과 소리가 극성(劇性)이 짙은 데 있다.


    살판(땅재주)

    물구나무서기 등 일종의 기계체조이나 그보다도 강렬한 풍물반주에 맞추어 온갖 체기를 다하는 기예이며, 몸짓의 확대된 표현 속에서 죽느냐(죽을판) 사느냐(살판) 하는 절실함이 있다. 잘하면 살판이요, 못하면 죽을판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종류는 앞곤두·뒷곤두·번개곤두 등 11가지 순서를 가지고 있는데, 본래는 대광대패나 솟대쟁이패의 놀이 가운데 하나였는데 남사당놀이로 수용한 것이다. 살판쇠(땅재주꾼)와 매호씨가 잽이의 장단에 맞추어 재담을 주고받으며 재주를 부린다.


    어름(조선줄타기)

    외줄로 꼰 줄 위에서 어릿광대와 말을 주고 받으며, 풍물장단에 맞추어 온갖 춤을 다 추고, 갖은 걸음걸이로 어름 위에서처럼 아슬아슬하게 줄을 타는데, 풍자 연희의 멋이 다른 서구적 줄타기 또는 서커스 줄타기와는 다른 점이다. 줄타는 사람을 어름산이, 그 아래서 대사를 주고 받는 사람을 어릿광대라고 한다. 줄타기 곡예로 얼음 위를 걷듯이 어렵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종류는 앞으로 가기·장단줄·거미줄 늘이기 등 15종의 순서가 있다.


    덧뵈기(가면극)

    덧보인다, 덧보이게 한다라는 연극 본연의 의미를 지닌 우리 연극의 원명으로 분장 대신 탈을 쓰는 가면극을 말한다. 춤보다는 재담과 연기가 우세한 풍자극으로 마당씻이·옴탈잡이·샌님잡이·먹중잡이 등 네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때그때 지역민의 취향과 흥취에 영합하였다. 이는 지역 단위의 가면극과는 달리 대사를 위주로 하는 막간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덜미(꼭두각시놀음)

    덜미는 인형극을 말하는 것으로 인형의 덜미를 잡고 한다는 데서 연유되었다. 남사당놀이의 마지막 순서로 한국에 하나밖에 전하지 않는 전통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이다. 대개 두마당 일곱거리로서, 즉 박첨지마당(박첨지유람거리·피조리거리·꼭두각시거리·이시미거리), 평안감사마당(매사냥거리·상여거리·절짓고 허는 거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