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를 실시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기업이 감자를 하면 보통주의 금액이 감소해서 기존 주주들이 손해를 보는데요. 유상증자처럼 현금이 들어오지도 않는데 감자를 실시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는 사업내용의 축소 등으로 불필요해진 회사재산을 사원이나 주주에게 반환하거나, 회사재산이 손실에 의하여 자본액을 밑돌 때 결손을 메우고 장래의 이익배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감자를 하게 되는 이유는 재무구조 개선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자를 통해 자본금이 줄어들고 부태비율이 낮아지면서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도를 높이고 결손금을 줄여 자본잠식을 방지합니다.
감자를 하면 주주들의 지분이 희석되지만 동시에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을 위한 선택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적자가 누적되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어져서 납입자본금을 잠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본잠식 상태가 지속되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고, 심한 경우 상장폐지될 수도 있습니다. 이때 감자를 통해 자본금을 줄여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자를 통해 결손금을 상계하여 재무제표를 개선하고,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감자를 통해 발행주식 수를 줄이면 주당 가치가 상승하여 주가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유상감자의 경우 주주에게 현금을 지급하여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자를 통해 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여 장기적으로 주주가치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는 자본금의 일부를 줄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실시되는 기업의 자본 재조정 방법입니다.
무상감자의 경우 자본잠식을 해소하거나 재무제표 상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큽니다.
현금 유입은 없지만, 기업의 신뢰도 회복이나 상장 유지 요건 충족 등 전략적 이유로 시행됩니다.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는 기업의 사어비 축소되어 불필요해진 회사의 재산을 주주에게 반환하기 위해 행해지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경우 유상감자, 실질적 감자로 부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감자를 실시하는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자는 회사의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기에
주식 수를 줄이거나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는 방법으로 이뤄지는데
이의 목적은 회사 재산이 손실로 인해 자본액을 밑돌 때 결손을 메우고
장래의 이익배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