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중세유럽과 근세유럽 기준을 산업이나 환경을 어떠한 기준으로 나누는게 좋나요?
중세유럽과 근세유럽을 나눌때 산업이나 환경이 크게 변한것으로 판단되는데요.
그렇다면 이는 어떠한 기준으로 나누어서 보면 좋은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세는 영주 중심의 농노제가 시행되었으며 14-16세기 두 가지 복고주의 운동을 바탕으로 근대사회가 전개됩니다. 하나는 르네상스(Renaissance)로 고대 그리스의 문예를 중시하던 시대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우신예찬을 쓴 에라스무스 신곡을 쓴 단테 데카멜론을 쓴 복카치오 등이 주도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종교개혁(Protestantism)입니다. 교황이 황제보다 지위가 높아지고 교회에서 천국행 티켓이라는 면죄부까지 판매하게 되면서 교회가 부정과 부패 비리의 온상이 되자 마르틴 루터는 95개조의 반박문을 통해 성서제일주의와 만인사제주의를 주장하였고 칼뱅 츠빙글리 등에 의해 초대 교회의 순수한 신앙으로 되돌아가자는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이런 과정을 사회는 민주적 절차와 과정을 중시하며 천동설이 부정되고 지동설을 주장하게 되었고 우리의 앓에 대해 회의하기 시작하면서 영국을 중심으로 경험론이 대륙인 프랑스 독일 등을 중심으로 합리론이 전개됩니다. 이후 영국에서 18세기 산업혁명이 일어나 산업의 획기적인 변화가 생기몌서 근대화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