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08.07

피의 색깔이 다른 동물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포유류의 대부분의 피 색깔은 빨간색으로 알고 있는데 피의 색깔이 다른 포유류나 동물들이 존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간의 혈액은 빨간색을 나타내는데요, 이는 혈액을 구성하는 혈액세포의 일종인 '적혈구' 때문입니다. 적혈구는 혈액 속에서 온 몸을 구성하는 세포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적혈구 내부에는 헤모글로빈이라고 하는 혈색소가 가득 차 있습니다. 헤모글로빈은 알파글로빈 2개와 베타글로빈 2개로 이루어진 4차구조 단백질인데요, 각각의 소단위체들은 Fe2+를 가지는 heme 분자를 가집니다. 철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반응을 진행하게 되면 붉은 색을 띤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이 때문에 적혈구가 붉게 보이는 것이며, 전체 혈액의 약 40~45% 정도가 적혈구로 차 있기 때문에 혈액 역시 붉은 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과 다르게 협각아문에 속하는 절지동물인 '투구게'의 피는 파란색을 띱니다. 이는 투구게에서는 인간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과 같은 역할을 하는 혈색소가 '헤모시아닌'인데요, 헤모시아닌은 철 대신에 구리를 가지고 있으며 구리는 산소와 반응했을 때 파란색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주신 포유류의 피 색깔은 모두 붉은색이 맞습니다.


    피 속에는 적혈구가 있고 이 적혈구 안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는데,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철을 만나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혈구의 역할이 산소운반인점을 감안한다면 헤모글로빈은 붉은 색일 수 밖에 없고 모든 포유동물은 적혈구를 가지고 있기에 피는 붉은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피의 색깔은 동물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의 피는 빨간색을 띠지만, 일부 동물은 다른 색상의 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눈알은 피가 투명하거나 흰색일 수 있으며,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등의 피를 가진 동물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눈알의 투명한 젤 부분에는 적혈구가 없기 때문에 피의 색이 없어 보이지만, 하얀색의 투명한 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해파리는 투명한 몸 안에 파란색이나 초록색의 피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존재합니다.

    동물의 피는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붉은색 이외 푸른색, 초록색, 보라색까지 네가지가 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 동물은 붉은색 피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붉은색 피의 원인은 적혈구 속에 들어 있는 철을 포함하는 붉은색의 단백질인 헤모글로빈 때문입니다.

    그리고 파란색의 피를 가진 동물로는 거미나 갑각류 일부와 달팽이, 민달팽이, 조개, 오징어, 문어 등의 일부 연체동물에서 발견됩니다. 피가 파란색인 이유는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할 때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헤모시아닌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외 초록색의 피를 가진 동물도 있는데요, 갯지렁이 또는 거머리와 같은 선충, 일부 무척추동물 등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색소 단백질인 클로로클루오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흔하지 않은 보라색 피가 있는데 일부 해양 무척추동물의 호흡 색소인 헤메리트린에 의해 보라색 피가 관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