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4.04.02

오일러 공식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나요?

오일러 공식은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기하학적으로도 유의미하다고 하던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요?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소수 체계 내에서는 삼각함수와 지수함수가 한가족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항등식으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수학자들이 내놓은 보석'으로 불렀던 식이다.

    이 식이 출현하기 전엔 애초에 실수와 순허수는 서로 계산 불가능했으며 자연로그의 밑 e은 지수함수 계산에, 원주율은 삼각함수 계산에 쓰던, 각기 독자적으로 발견, 개발되고 서로 고유의 영역을 이루고 있어서 여간해선 만날 일 없던 수들이었다. 이 식이 출현하고 나서, 실수와 순허수는 복소평면이라는 공간에서 서로 만나게 되었으며, 초월함수인 지수함수와 삼각함수가 복소평면 상에서 결국 동일한 현상이었다는 것을 밝혔다.

    출처:수학백과,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이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일러 공식은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이름을 딴 공식으로, 복소수 지수를 정의하는 데에 출발점이 되며, 삼각함수와 지수함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이 수식은 여러 요소들이 혼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것은 허수 승수입니다. 이제 이 복잡해 보이는 수식의 기하학적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하학적으로는 오일러 공식은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정리는 다면체의 꼭짓점(V), 모서리(E), 면(F)의 수를 이용하여 V - E + F = 2라는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다양한 다면체들에 대한 중요한 성질을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일러 공식은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이름이 붙은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복소수 지수를 정의하는 데에 출발점이 되며, 삼각함수와 지수함수에 대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오일러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e^{i\theta} = \cos(\theta) + i\sin(\theta) ]

    이 공식은 여러 요소들이 혼합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독특한 것은 허수 승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하학적 의미: 오일러 공식을 들여다보면 자연상수 (e), 허수 (i), 삼각함수 (\cos, \sin)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일러 공식은 여러 요소들이 혼합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독특한 것은 허수 승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소수의 의미: 오일러 공식에서 (e^{i\theta})는 어떤 복소수를 의미합니다. 이 복소수는 길이가 1인 막대가 실수축으로부터 (\theta) 라디안만큼 회전한 곳에 위치하는 값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즉, 복소수의 의미는 회전하며 성장한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오일러 공식은 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복소수와 삼각함수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