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MinJun Kim
MinJun Kim23.03.13

출산율 저하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심각하게 하락하였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부동산에 큰 영향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 특히 지금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집을 장만해야하는 시기가 왔을때 부동산 가격은 어떨까요?

집에 대한 수요가 하락해서 침체가 될지, 아니면 서울과 같은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 될 것인지, 등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4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출산율이 떨어져 인구가 적어지면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집값이 하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인구가 줄게되면 그시대와 시스템에 맞는 주거형태나 주거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아직은 아주 먼 훗날의 이야기이므로 지금의 부동산 시장은 끊임없이 수요와 공급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니, 공인중개사가 미래를 거론하기에는 역부족인점 양해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는 이런 관점으로 시장을 보고 있습니다.

    아동복 거래량은 줄었지만, 아동복 매출액은 늘고 있습니다.

    자녀가 1명인 가족이 많으니 1명에게 더욱 더 좋은 옷을 입히려 하는 것이죠.

    이를 부동산에 대입하자면

    사람은 줄어든다 하지만, 결국 서울이나 광역시 위주로는 가격이 오를것으로 보입니다.

    2채 사야했던 가정이 1채를 더 좋은 곳으로 사려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출산율의 부족으로 세상이 망할듯 한다면 굳이 부동산이란 것을 매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전에 5명이상씩 놓던 시절에서 두명정도 나았다면 그때도 나라는 망한다고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하 부동산 가격은 엄청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출산율이 거의 0%대 이지만 이는 주거형태가 다를뿐 부동산의 가격은 크게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근 통계청 데이터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 총인구 수는 5,163만 명으로 집계가 되었고, 앞으로 예상 추계인구수는 5,156만 명(2023년), 5,150만 명(2024년), 5,145만 명(2025년)으로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기준 1년 동안 출생아 수 249천 명, 사망자 수 373천 명으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월등히 더 많은 상태이며 우리나라 기대수명 84세로 초고령화 시대로 들어선 모습입니다.

    2022년 기준 가임 여성(15세~49세)의 합계출산율 0.78명으로 OECD 평균 합계출산율 1.59명의 절반 정도 수준에 그치는 등,

    우리나라 총인구수 감소, 출산율 감소, 초고령화 시대 도래되어 커다란 변화 시그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부분보다는 말씀처럼 장기적인 부분이 초점을 맞춰 생각해봐야할 중요한 문제이며, 나라의 생존은 곧 국민의 수와도 직결되는 문제라고 생각이 됩니다.

    팬데믹과 함께 총인구수는 감소추세에 있지만 1인가구가 일상화되어 있고, 경제활동을 위한 인구가 경제기반이 튼튼한 도시로 이동할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경제활동이 왕성한 도시에는 인구 유입증가로 부동산가격에 긍정적인 신호를 나타낼것이며 경제활동이 감소되는 도시의 경우 유입인구가 감소하여 부동산가격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결국 수요가 감소되는 것이기에 부동산 가격에도 안좋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다만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부동산도 점차 그에 맞게 변형될 것이기에 부동산 폭락같은 상황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이전보다는 공급이 줄어들수 있고 아파트 재건축등은 감소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해당 토지를 상황에 맞게 변형해 이용하거나, 1인가구를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새로운 주거시설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수도권 쏠림현상은 기반시설, 문화편의시설, 직장등 여러요소가 작용되기 때문에 단순히 인구감소가 이 현상을 가속화할지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줄어들면 당연히 수요가 줄어드는건 사실입니다.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수요가 몰리는것은 장기적으로 교통망이 좋아져 줄어들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