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장단점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전세사기로 인하여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20년 이상을 전월세를 살아본 경험이 있고 사기는 안 당했지만
집을 구할때마다 항상 조마조마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에 빌라왕 전세사기를 뉴스를 접하고 사기당한 세입자들이 너무
안타깝고 남의 일 같지 않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같은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점은 가입시 번거롭고 비용이 든다는점.
장점은 이러한 단점을 커버하고도 남고, 두발 뻗고 잘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경우 단점은 비용이 발생되는 점을 제외하고 보증금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보험은 임대인이 보증금을 못돌려주거나 전세사기를 당하는등 보증금을 보호하기위한 수단이며 요즘같은 시기에는 필수라고 볼수있습니다.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고 대항력을 유지하시면 됩니다. 최대의 단점은 절차가 매우 불편합니다.
임대차등기후 이사하시고 난뒤에 보증보험신청이 가능하며 그후 반환까지도 약 1개월정도 소요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보험은 보증금 미반환시 세입자 보호를 위해 정부가 공기업을 통해 지원하는 보험입니다. 그러므로 사실상 장단점을 구분하는게 의미기 없습니다. 가입이 가능하다면 무조건 하셔야 하는 부분이고, 장점은 목적 그대로 보증금 미반환으로 인해 세입자 피해를 복구해준다는 점이고 단점은 매년 보증료가 나간다는 것과 무조건적인 보호가 아닌 조건에 해당하여야 심사을 통해 지급하는 점, 그리고 한도가 정해져 있기에 높은 전세의 경우 전액보장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보험에 가입하며 아무래도 내 전세금이 문제가 생겨도 보증회사에서 보장을 해주니 안심이 되는 면이 있겠습니다.
단점이라면 보험이다보니 보험비를 내야 하는 정도가 있겠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