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 간 공녀는 어떤 일을 했나요?
고려, 조선시대 수많은 여인들이 공녀라는 이름으로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중국으로 끌려갔습니다. 중국으로 간 공녀는 어떤 일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나라에 간 공녀들은 고된 노동과 학대에 시달리며 고단한 생활을 했고 때로는 노비로 전락해 매매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 중 일부는 황제의 황비가 되어 명나라 황실의 후사를 잇기도 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녀들은 일반적으로 역할은 궁녀와 무수리, 요리사, 무희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공녀에 대한 역사는 고려 시대의 공녀를 얘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나라 전체 역사 중 많은 기간동안 공녀의 역사가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대국의 간섭을 받는 약소국이 강대국의 요구에 따라 자국의 젊은 미혼여성들을 모아 보냈습니다.
대부분의 공녀는 황제국에 가서 궁녀가 되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나라에 간 공녀들은 고된 노동과 학대에 시달리며 고단한 생활을 하였고, 때로는 노비로 전락해 매매되는 신세가 되었다. 물론 고려의 공녀 중에 특별한 지위에 올라 호사를 누리는 사람도 있었다. 그들은 몽골 사회의 상층부에서 황제 · 황후 및 귀족들의 궁인 또는 시녀가 되어 큰 활약을 펼쳤는데, 원나라 순제(順帝)의 제2황후 지위까지 오른 기자오(奇子敖)의 딸 기황후(奇皇后)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고려의 의복 제도와 음식이 원나라 황실과 고관 내에 퍼져 원에서 고려양(高麗樣)이라는 새로운 말이 생기게 되었고, 고려만두 · 고려떡[高麗餠] · 고려아청(高麗鴉靑) 등이 유행하였다.
공녀의 징발은 원의 멸망 후에도 곧바로 사라지지 않았다. 원의 멸망 후 들어선 명은 처음에는 처녀의 공납을 요구하지 않았다. 도리어 원나라 사람과 혼인해 살고 있던 충혜왕의 딸 장녕공주(長寧公主)를 돌려보내기까지 하였다.
공민왕은 이를 고맙게 여겨 1373년(공민왕 22) 밀직부사 주영찬(周英贊)의 딸을 명나라 황실의 궁녀로 보냈는데, 이것이 명나라에 보낸 공녀의 시초이다. 이후 명나라는 1408년(태종 8)부터 1521년(중종 16)까지 7차례 공녀를 요구하였고, 총 114명의 조선 여인들이 공녀라는 이름으로 명에 보내졌다.
양국 관계의 안정이라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루어진 1차의 공녀들은 영락제(永樂帝)의 정식 후궁이 되었으나, 나머지 6차례의 공녀들은 그러한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황족의 후궁이 된 사례도 있었으나 대개는 음식을 만들거나 춤추는 일에 종사하였다. 다만 2차의 공녀인 한씨는 영락제의 총애를 받아 동생 한확(韓確)이 조선에서 정치적으로 성장하는 데 디딤돌이 되었다.
그런데 명나라의 공녀 요구는 원과 다른 점이 있었다. 원은 고려에 대대적이고 공개적으로 공녀를 요구했다면, 명은 비밀리에 조선에 공녀를 요구하였다. 그로 인해 공녀의 친족들이 공녀를 만나러 갈 때, 진공사(進貢使) 등의 이름으로 위장하여 파견되기도 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공녀로 끌려 가는 여인들은 나이가 18세 미만의 어린 아이들이 대부분 이였고 그들은 보통 명나라 혹은 청나라의 황제의 궁녀 혹은 후궁이 되었다고 합니다. 보통 명나라 에서는 왕이 죽을 떄 같이 후궁 들을 매장 하는 순장 풍습이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결을 하는 공녀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