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금리 인상과 우리나라 경제 관계?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 연준에서 금리을 계속 인상을 하고 있는데 이럴경우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주게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말씀하신 대로 현재 미연준은 미국내 물가 안정을 위하여 금리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미국의 금리인상 -> 미국 투자수요 증가(예금이자와 유사) -> 달러 수요 증가 (강달러) -> 원화수요 감소 -> 환율 상승이라는 결과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즉,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수요 감소, 환율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 (환율 상승시 기존에 1달러 물품에 대하여 1000원이 아니라 1500원을 지불하여야되기에 국내 수입물가가 상승) -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를 막기위하여 금리를 인상하고 있으며 이로인하여 기업, 가계의 이자비용 증가 / 물가 안정화 / 채권시장 불안정 등의 상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계속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격차를 심화시킬수 있고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면 지난 3개월동안 겪었던 것처럼 달러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결과로 돌아오게 됩니다. - 우리나라는 수출과 수입에 의존도가 높은 전형적인 외수경제기반 경제성장 모델이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입원자재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게 되고 이는 곧 국내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율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결국 우리나라도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 그래서 지금처럼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인상하고 있고 금리인상으로 인해 개인들의 이자부담 심화나 기업들의 경영여건 악화등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제대로 잡히지 못하고 계속된 금리인상이 된다고 하는 경우는 우리나라에 심각한 경제위기를 가져오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미국의 CPI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는 등 인플레이션이 억제되는 모습이 보이고 있어서 미국의 금리인상기조가 조금은 늦춰진다는게 우리경제에는 호재로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금융시장을 가지고 있고 - 이에 따라서 미국의 금리인상을 통하여 전세계의 자금이 이동하게 되고 - 우리나라도 외인 자본 유출 등을 막고 원달러 환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 금리를 올리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경기 둔화가 그대로 파급되는 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일시적인 물가상승 외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사회후생의 관점에서 미국 금리에 동조하는 정책보다 국내 물가와 경기 여건에 따라 운용하는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효용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