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중국의 PPI가 31개월째 하락세라는데 이게 디플레이션 징조라 볼 수도 있나요?

최근 중국의 CPI, PPI가 발표되었는데

CPI도 하락, PPI도 하락세입니다

그런데 PPI는 31개월째 하락을 하고 있다는데 PPI의 장기간 하락은

경제가 침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PPI 생산자물가지수가 31개월 동안 하락 중이라는 것은 실제로 기업들이 생산 한 상품을 더 낮은 가격에 판매 하고 있다는 신호 입니다. 이는 수요 위축과 생산 활동 둔화를 의미 하는거죠.

    특히 중국처럼 제조업 중심 국가에서 PPI가 장기 간 하락 하고 있다는 것은 내수부진과 글로벌 수출 둔화로 인한 경기침체 신호로 충분히 해석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PPI의 31개월 연속 하락은 디플레이션 징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생산자 가격의 하락이 수요 약화와 경제 침체를 반영할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PPI와 CPI만으로 경제 전반을 판단하기는 어려워 기타 경제 지표와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 하락과 함께 경제 위축을 동반할 수 있어 장기적인 경계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ppi라는 것은 생산자 물가지수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원재료나 생산가격 등에 반영이 되며, 다른 물가지수인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앞선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자물가지수가 31개월 하락을 하였다면, 후행지수인 소비자물가지수도 하락을 하였을 것이므로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 및 신호라고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부분에 대한 것은 결국 정책적으로 풀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중국의 PPI 하락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거진 3년 가까이 생산자지수가 하락한다는 것은 중국 내수 시장에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있을 것이고 초입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중국은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디플레이션 상황입니다. 실업율도 높고, 저물가 기조로 경제침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PPI지표가 31개월째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단순한 가격조정이 아니라 내수부진, 수출감소, 과잉생산 등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디플레이션을 경고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작년 동월보다 2.7% 떨어지며 31개월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는데요. 내수 부진과 함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까지 겹친 중국 경제에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