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정중한토끼172
정중한토끼172
24.02.02

청년도약계좌를 중도인출하면 불이익이있나요??

청년도약계좌를 넣다가 돈이 필요한경우가 발생해서 돈을 빼야할거같은데 이런경우에 불이익이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에는 중도인출이 불가능한 상품이다 보니 중도해지를 하셔야만 하시기 때문에 해지를 하시게 되면 재가입 기간까지 기다려야 하며, 정부 기여금을 받지 못하시게 되는 불이익을 받게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만기까지의 이득을

    다 취하지 못하는 것이 불이익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인출하면 불이익이 있습니다.

    1.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상실:

    • 만기 전에 중도 해지하면 정부 기여금을 돌려받아야 하며,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어, 1년차에 중도 해지하면 납입한 금액만 돌려받고, 2년차에 중도 해지하면 납입한 금액과 정부 기여금 일부를 돌려받아야 합니다.

    2. 조기 해지 수수료:

    • 은행마다 조기 해지 수수료 정책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납입금의 0.5%~1%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3. 재가입 제한:

    • 중도 해지 후 일정 기간 동안 청년도약계좌에 재가입할 수 없습니다.

    4. 미래 자금 축적 기회 상실:

    • 청년도약계좌는 장기적인 자금 축적을 위한 상품입니다. 중도 해지하면 미래 자금 축적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5.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

    • 일부 금융기관에서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를 신용등급 평가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인출하기 전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중도 인출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사망, 장기요양, 장애 등 특별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집 구입, 결혼 등 중대한 지출이 필요한 경우

    • 투자 수익률이 예상보다 낮거나, 금융 시장 상황이 악화되어 손실 가능성이 높은 경우

    중도 인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은행에 문의하여 정확한 불이익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