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언어가육지하고 다른이유가 무엇인가요?
제주도에는 전통적으로 제주도 방언이 발달되어서 육지사람들이 못알아들을 정도더군요 실례로 돼지를 제주도에서는 돔베라고 하더군요. 왜 제주도만의 벵언이 발달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지의 언어와 다른이유는 지형적 특성에 있다고합니다. 제주도는 섬지방이라 바람이 많아 바람소리에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짧고 정확하게 의사전달을 해야만 했기에 자연스럽게 짧게 된거라고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는 탐라국으로 독립 해서 살다가 고려시대에 합병되고 조선시대에는 행정 구역으로 편입 됩니다. 더군 다나 제주는 배가 없으면 접근 조차 어려운 도서 지역 입니다. 이러한 도서 지역ㅇ는 당연히 서울말 표준말이 쓰일 수가 없고 독자적인 사투리가 생길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요즘은 인터넷과 통신 시설의 발달로 사투리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 방언의 유래는 11세기 이후 어느 시점에 고려에서 들어온 후기 고대 한국어 또는 초기 중세 한국어로 보며 제주어는 한국어족과 상당히 많은 기본어휘와 문법을 공유합니다.
방언 이 나오는 특징적인 이유 중 하나로 제주는 섬 이기 때문에 육지와의 교류가 활성화되기 힘들었던 시절, 교통과 통신의 미발달로 인하여 방언이 나왔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는 원래 전라도에 속해 있다가 분리된 지역으로 언어는 계속 이어지게 되어있는데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언어가 끊기다보니 과거의 언어가 그대로 이어지면서 본토와의 괴리감이 생겼고 자생적인 언어들로 인하여 알아들을 수 없는 언어들이 생겼다고 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 방언이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2가지로 통상 이야기합니다.
1. 본토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외부와의 접촉이 적고 오래전부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왔음
2. 여러 민족이 이주해 와서 다양한 방언이 섞였음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는 섬입니다.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한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육지와 떨어져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언어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습니다. 제주도 사투리에는 과거 중세 한국어의 특징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우리가 잘 알아듣지 못하는 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윤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왜 제주도에만 방언이 발달했는지 물으셨는데요.
사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뿐만 아니라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등 지역마다 사투리,방언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지역 방언들 중에도 어느 지역에 가면 서울,경기 사람들은 거의 알아 듣기 힘든 수준인 경우가 아주가 많이 있습니다.
이것은 서울, 즉 수도권과의 교류가 얼마나 잦았느냐의 문제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제주도는 서울 및 수도권과 교류가 적었던 만큼 그 지역 만의 방언이 강할 수 밖에 없겠지요.
또한, 정치적인 면에서 본다면, 우리나라 보다 수 십 배나 더 넓은 러시아에서는 어느 지역에 가나 사투리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억양의 차이는 조금 있다고 하지만 알아 듣지 못할 정도도 아니라고 합니다.
이것은 정치적으로 사회주의 때 하나의 러시아를 만들자는 당시 정치인들의 정책에 의한 것이라고 하는군요.
결국, 우리나라에서 지역 마다 특히, 제주도 방언이 심한 이유는 지리적으로는 수도권과의 교류가 가장 적었고, 그 만큼 오래전 부터 정치적, 사회적 영향도 덜 닿았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 방언은 접사가 다양하고 특이한 처격과 여격의 발달, 주체 높임법이
없는 점, 3등급의 상대 높임 체계,
질서 정연한 동작상 등의 문법적 특징을 지니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많은
중세 어휘의 쓰임과 한자어와 몽골
차용어 등은 제주방언에서만
두드러지는 어휘적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