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상장 전 계좌에서 세금이 있는 건 뭔가요?
공모주를 청약하고 상장 전에 계좌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평가손실이라 보니 세금이 있던데 공모주 상장 전 계좌에서 세금이 있는 건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는 상장 전까지 평가손익만 표기되며 실제 세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계좌상 세금 표시처럼 보일 수 있는 항목은 수수료 또는 원천 징수 예상액일 수 있습니다.
상장 후 매도 시점에 따라 실제 세금이 확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 후 상장 전 계좌에 보이는 평가손실은 실제 매도한 것이 아닌 미실현 손익입니다.
세금은 아직 확정되지 않으며, 상장 후 매도 시점에만 과세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을 하면 상장 전까지 증권사 계좌에 배정 물량이 보이긴 하지만 아직은 실제 거래가 안 되는 상태라 세금이 확정되는 시점은 아닙니다. 다만 시스템상 평가액을 표시하면서 원천징수세율을 미리 반영해 예상 세금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배당이나 이자성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과 혼동돼서 세금 항목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평가금액에서 보이는 손실의 경우는 현재가로 매도시 발생하는 세금을 예상해서 보여주는것입니다.
공모주가 상장전 현재가는 공모가이므로 배정받은 가격(공모가)에 매도시 예상 세금을 적용해서 보여주는것이고 실제 세금은 실제 매도시 매도금액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아마 근처 메뉴 보시면 매매비용을 체크하는 부분이 있을텐데 체크 해제 하시면 세금+수수료 감안하지 않은 잔고로 확인 가능합니다.
이거는 딱히 공모주에만 해당하는것은 아니고 모든 주식에 대해 적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 상장 전 계좌에서 세금이 있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상장하기 전에 그 관련 종목에 세금이 붙을 순 없기 때문에
뭔가 착오가 있거나 다른 부분에서 나온 세금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상장 전 계좌에서 세금이 있는 것은 앞으로 발생할 주식의 매도 등에 대한 세금을 차감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것이락고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공모주와 관련된 수수료 등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반영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모주에 대한 세금 등의 경우 각 증권사에 대한 이체수수료, 또는 매매수수료가 다를 수 있기에 이를 확인하고 증권사를 선택하여 운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상장 전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데요. 계좌에 세금이 있다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화면을 보여주실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