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대신 연금저축보험 들어두는 건 어떨까요?
요즘 나온 연금저축 범을 살펴보니 원금 보존 도 잘 되어 있고 이유도 좋더라구요 동미로 이 자가 쌓이는 것 같은데 물가상승률 대비 이윤 방어가 잘 될까요?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원금 보장이 안됩니다. 상품 특성에 따라 납입만기시 기납입보험료 보장 되는 상품도 있긴 합니다만,
20년 장기간 힘들게 불입하고 고작 납입원금?
가입 안하는게 본인에게 더 이득 합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봤을떄는 손실이 아닐 수 있지만 물가상승률을
봤을때는 손실일 수도 있죠.
저축은 목적에 맞게 하는게 맞습니다.
단기적으로 쓸일이 있을때는 예금저축을 하는게 맞고.. 중장기적으로 지금 당장은 쓸일 없다 했을땐 연금저축을 가입하시면 됩니다.
지금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사실 투자로 불리는거 아닌 이상.. 장기적으로 봐야 할듯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예금과 연금저축보험은 자금의 사용 용도가 다른 케이스 입니다. 따라서 저축을 위해 가입하시는 것이라면 예금을 추천드리고, 노후준비를 위해 가입하신다면 저축보험을 추천드립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소득공제와 일정 수준의 수익률이 보장되어 있어 좋은 상품이나. 중도 해지시 페널티가 있고, 장기 유지해야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1. 은행사의 예금과 적금보다 보험사상품이 이제 저축면에서 훨씬 좋은것은 맞습니다.
은행은 단리이며 일반과세를 떼지만
보험은 복리이며 비과세로 적용되어 저축면에서는 최고의 조건이죠.
2. 다만 연금저축자체는 그렇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연 4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를 해준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나중에 돌려받을 때 그만큼 세금을 내야 돌려받을 수 있는 조삼모사형식의 보험입니다.
문제는 세액공제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세금은 받을 때 당시 세법을 적용하여
더 높은 세금을 내야할 수도 있다는 것이죠.
3. 물가상승률을 방어할 수 있는 상품은 3개가 있습니다.
(1) 저축보험
> 정해진 기간동안 납입 이후에 일정기간동안 복리이자가 굴러가는 형식의 보험입니다.
단점은 복리이자가 굴러갈 기간이 부족하여 큰 효율을 내지 못합니다.
복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 이자를 얻는데
저축보험은 복리이자기간이 5년정도가 보통이죠.
(2) 연금보험
> 시스템자체는 저축보험과 동일하나 연금형식으로 받습니다.
다만 이상품은 더 나쁜 문제가 있는데 납입완료~연금시작 사이 기간동안 복리이율이
1%미만으로 감소합니다.
사실상 이자가 거의 안붙죠.
(3) 종신보험
> 저축보험의 상위호환 개념으로 복리이자가 굴러가는 기간을 종신(사망시 까지)까지
연장시켜준 상품입니다.
예정이율이라 하여 일정 이율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공시이율이 상승하면 같이 이율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손해는 보지 않고 이득을 볼 땐 보는 형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중도인출, 약관대출을 통한 계약을 보존하며 중도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예적금은 깨야하죠.)
간단히는 이정도로 설명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CFP입니다.
투자를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눠서 만약 장기로 가져가실 것(즉 해지 없이) 이라면 연금저축보험 들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흔히 복리의 마법이라고 하죠. 사업비 위험보험료 차감등을 고려해도 장기로 가져갈수록 연금저축보험이 유리할수밖에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