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색깔이 청록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태양의 실제 색깔은 청록색에 가깝다고 하는데요.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색깔은 하얀색, 노란색, 주황색으로 보이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태양의 색깔이 왜 청록색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천문학자들은 별의 표면 온도를 기준으로 별의 색을 구분합니다. 이를 스펙트럼형이라고 하며, O, B, A, F, G, K, M의 7가지가 있습니다. 이들의 특성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스펙트럼형 표면온도(K) 색깔
O 30000 이상 푸른색
B 10000~30000 청백색
A 7500~10000 흰색
F 6000~7500 황백색
G 5000~6000 노란색
K 3500~5000 주황색
M 3500 이하 빨간색
각 스펙트럼형은 다시 0~9까지 10단계로 구분합니다.
태양은 스펙트럼형으로는 G2형이며, 색깔은 노란색(황색)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태양의 실제 색은 청록색이 아닌 하얀색에 가까운 백색광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청록색으로 보이는 효과는 특정 파장이 두드러지기 때문인데요. 태양은 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을 포함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들이 모두 합쳐져서 백색과으로 보이게 됩니다. 태양의 빛은 연속 스펙트럼을 가지지만 가시광선 영역에서 녹색-청색파장에서의 빛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태양 에너지가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중간파장에서 강하게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로 청록색으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태양의 빛은 흑체 복사 곡선으로 표현하게 되며 이 곡선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방출파는 하장이 500nm부근이 됩니다. 하지만 이들이 태양의 전체 빛이 청록색으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게 됩니다! 흑체 복사 곡선은 다양한 파장을 포함하며 모든 파장을 합쳐 하얀색으로 형성하게 하는 것이지요. 지구에서 태양이 다양한 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기의 산란, 태양 고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된답니다! 태양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표면온도이며 태양은 약 5,500도를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