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나타나며, 이러한 호는 자신이 짓기도 하고, 남이 지어 부르기도했습니다.
호를 짓는 기준에 대해 이규보는 그의 백운거사어록에서 -거처하는 바를 빠라서 호로 한 사람도 있고, 그가 간직한 것을 근거로 하거나 혹은 얻은 바의 실상을 호로 한 사람들도 있었다고 기록하고, 여기서 세가지 기준을 볼수 있는데, 신용호는 이 세가지 기준에 자신이 목표로 삼아 도달한 경지나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와 의지에 따라 호를 짓기도 한다는 한가지를 더하여 네가지 기준을 들어 말했습니다.
-소처이호: 생활하고 있거나 인연이 있는 처소로 호를 삼는 것
-소지이호: 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으로 호를 삼는 것
-소우이호: 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는 것
-소축이호: 간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호를 삼는 것 입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스스로 호를 짓기도 하고 , 부모나 스승, 친구가 호를 지어주기도 하여 사람에 따라 한 사람이 여러 가지의 호를 쓰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