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중동지역 무역 진출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문화적 요소는 무엇인가요?

중동지역은 우리나라와 문화적 요소가 많이 다르다보니, 항상 바이어 측과 계약 시 문화적 요소를 만힝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 대표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화적요소는 뭐가잇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중동 바이어와 계약할 때는 종교와 시간 개념에 대한 이해가 특히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라마단 기간에는 업무 속도가 느려지고, 금요일은 주말로 간주돼 응답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도 신뢰를 바탕으로 구두 합의가 중요한 경우가 있어, 문화적으로 직접적인 표현보다 완곡한 소통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동시장 진출은 그 어느시장보다 쉽지 않습니다. 일단 이슬람 문화와 종교적 규범을 잘 파악하고, 남녀간 접촉 자제, 할랄인증 등에 대한 부분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openknowledge.kotra.or.kr/handle/2014.oak/32503

    감사합니다.

  • 중동 대부분 국가는 이슬람교가 지배적이며, 일상과 비즈니스 모두 종교적 규율에 따라 움직입니다.
    특히 라마단 기간 중에는 업무 효율이 떨어지고, 근무시간도 단축되므로 계약이나 회의 일정을 이 시기에 맞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합니다.
    또한 돼지고기, 술, 부적절한 복장, 여성과의 접촉 등에 민감하므로 기본적인 할랄(Halal) 규정과 종교 예절을 존중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동과의 거래 시에 일단 해당 국가의 법적 요건을 확인하셨다면 문화적인 부분도 고려하여야될 듯 합니다. 먼저 중동의 경우 이슬람/힌두 문화권이기에 각 종교에 맞는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이러한 비즈니스에서도 비공식적인 친분을 중요시하기에 이에 따라 친분을 미리 다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직설적이기 보다는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의사소통방식이 선호된다고 하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예의와 존중을 표현하는 방식부터 전혀 다릅니다. 중동 바이어는 계약 조건보다 관계 자체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어서 처음부터 가격 협상에만 집중하면 거부감이 생기기 쉽습니다. 빠른 결정이나 성급한 일정 제시는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회교 문화 특성상 기도 시간이나 금요일 휴무 같은 종교 일정을 무시하면 큰 실례가 됩니다. 식사 자리에서 손 사용하는 방식이나 인사 습관도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계약서에 사인을 받아내는 속도보다 관계 형성에 들어가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단기성과 중심 접근은 중동시장에선 잘 먹히지 않는 흐름입니다. 무엇보다 신뢰라는 키워드가 거의 절대적인 기준처럼 작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