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23.02.16

실업률이 낮게 나오면 오히려 시장에 좋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미국 발표가 있던데

실업률이 낮으면 오히려 경제에 좋은 현상이 아닌가요?

그런데 이거때문에 주식이라든지 자금시장이 폭락하던데 이상한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낮다는건 좋은겁니다.

    그래서, 모든 정부 및 중앙은행들은 완전고용 수준의 실업률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그러나, 지금의 미국 상황은 좀 아이러니한데요.

    바로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미국은 엄청난 돈을 뿌렸습니다.

    그 결과 지금의 물가상승을 초래했구요.

    인플레의 원인으로는 크게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요.

    현재 공급측면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에도 불구하고 많이 정상화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금리를 통해 수요를 조절하는게 주요 역할인데요. 지금 미 연준은 작년부터 금리를 급격히 인상했습니다. 바로 시중 돈을 흡수해 수요를 눌러 인플레를 잡겠다는 정책이죠.

    그런데, 고용이 좋으니까 금리를 올려도 인플레가 잘 잡히지 않습니다. 즉, 근로자들의 지갑이 두둑하다보니 수요가 줄지않고, 그 결과 물가가 잘 안잡히는거죠. 이에따라, 미 연준이 시장예상보다 높게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는 예상에 자본시장 등이 반응하는거죠.


    실업률이 낮은건 경기가 좋다는 의미로 근본적으로는 좋은겁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실업률은 작년 급격한 금리 인상 시기에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즉, 미국 주식 가격에 영향을 끼칠 주요 변수가 아니었다는 의미입니다. 미국의 고용시장은 한국이나 유럽 등과 달리 기업의 쉽게 구조조정을 할 수 있어 동행지표에 해당합니다. 실업 관련 지표 때문에 근래 주가가 등락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현재 주가에 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은 금리입니다. 물가도 어느 정도 제어 범위에 들어오고 있어 어제 CPI 지수가 다소 예상치 보다 높았음에도 주가는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금리가 더 이상 작년처럼 오르지 않고 하반기에는 오히려 내려갈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