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27

아스팔트가 강한 빛을 받으면 멀리서 보면 물처럼 보여요.

안녕하세요.

강한 더위가 내리쬐는 여름,

밖에서 운전을 하거나 걷거나 하다보면

멀리 있는 아스팔트가 일렁이는 물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게 어떠한 원리로 이렇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멀리 있는 아스팔트가 일렁이는 현상은 광학적 현상 중 하나인 '굴절(Refraction)'의 결과입니다. 굴절은 빛이 다른 밀도를 가진 매질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체가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지 않을 때 일어납니다.

    여름철 아스팔트가 더운 탓에 지표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공기와 아스팔트 사이의 밀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때, 빛은 다른 밀도를 가진 매질을 통과할 때 직선으로 통과하지 않고 경로를 바꿉니다. 따라서 빛이 공기와 아스팔트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굴절되면, 우리 눈에는 아스팔트가 물결치는 듯한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광학적 현상을 '미러링(Mirage)'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더운 날씨에 발생합니다.

    또한, 일렬로 놓인 나무나 건물 등의 물체도 아스팔트와 같은 원리로 일정한 각도로 굴절되어 일렬로 놓여있는 것처럼 보이는 '휘도(Mirage)'라는 현상도 있습니다. 이러한 광학적 현상은 주로 더운 날씨와 평지 지형에서 발생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7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미라지" 혹은 "모기지(Mirage)"라고 합니다. 미라지는 광선이 지표면을 통과할 때, 대기의 온도 차이로 인한 굴절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이 더욱 뜨거운 경우 지표면에서 발생한 열이 대기를 데워서 굴절률이 변화하고 굴절이 발생하여 미라지가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미라지는 일어나지만, 아스팔트는 더욱 높은 열을 띄기 때문에 특히 미라지 현상이 잘 일어나는 지표면 중 하나입니다. 또한, 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대기가 더욱 차가워지기 때문에 더 많은 미라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워진 아스팔트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밀도차이 때문입니다.

    보통 공기 밀도는 일정해서 휘고나 일러이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스팔트 위와 같이 갑작스런 온도 차이가 생기면 공기 밀도 차이가 발생해 빛이 휘어 일렁이는 현상인 아지랑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는 여름에 강한 햇빛을 받아 뜨꺼워지는 데,

    이때 아스팔트가 이글거리는 것처럼보입니다. 아지랑이와 같은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는 빨리 뜨거워지기 때문에 아스팔트 부근의 공기도 빨리 뜨거워져 가벼워집니다.

    이때 가벼워진 공기덩어리는 위로 올라가고, 약간 차가우면서 무거운 공기덩어리랑 만나게 됩니다.

    빛이 이들 사이를 지나다가 경계면을 만나면 휘게 되면서 아지랑이 현상과 함께 도로가 울렁울렁 보이게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열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신겁니다. 지표면이 너무 달구어져서 보이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아스팔트가 일렁이는 현상은 광학적 현상으로, 공기 중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굴절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더운 날씨에는 지표면과 공기 중에 열이 축적되고, 이때 지표면과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 중의 밀도가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열 움직임이 지표면과 공기의 경계에서 굴절되면서, 빛의 경로가 굴절되어 아스팔트의 일부분은 더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굴절 차이 때문에 아스팔트가 물처럼 일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미세하게 구부러진 아스팔트 표면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러한 구부러짐은 아스팔트를 광택시키는 오일과 같은 물질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결 모양의 일렁임 현상은 대기 중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더운 여름날, 지표면이나 아스팔트 도로는 태양의 열에 의해 매우 높은 온도가 되며 이 온도는 지면 주변 공기에도 전달됩니다. 따라서 지면과 지면 주변 공기 사이의 온도 차이가 매우 작아집니다. 하지만 지면 바로 위의 공기층은 이전에 말한 지면과 지면 주변 공기 사이의 열전달로 인해 더 많은 열을 흡수합니다. 이로 인해 지면 위의 공기는 지면 주변 공기보다 더 높은 온도가 됩니다.

    이 더 높은 온도를 가진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면서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작은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물방울이 바로 일렁이는 물처럼 보이는 현상을 만들어냅니다. 이를 대기 굴절이라고도 하는데, 공기층이 다른 밀도를 가지고 있을 때 광선이 굴절되는 현상으로 물결 모양의 일렁임 현상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