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9.30

대기 구성 물질은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대기 구성 물질은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대기 중의 산소, 이산화탄소, 오존 등이 생명체의 호흡, 식물의 광합성 및 기타 생리적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구성 물질은 생명체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대기 중의 산소, 이산화탄소, 오존 등은 각각 생명체의 호흡, 식물의 광합성, 기타 생리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소는 생명체의 호흡에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산소를 흡입하여 에너지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식물도 산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하여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합니다. 포도당은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오존은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생명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존층은 지구 상층 대기에서 발견되는 오존의 층으로,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줄여줍니다.


  • 식물은 동물과는 달리 한 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양분을 합성해야 하는데요,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포도당으로 합성하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하며, '6CO2 + 6H2O → C6H12O6 + 6O2'라는 반응식의 형태로 진행이 됩니다. 보시다시피 광합성을 위해서 식물은 식물 잎의 하면에 존재하는 기공을 통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며, 광합성의 부산물로 발생한 산소 역시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류는 질소 70%와 산소 28%에서 활동이 가능하며 나머지 2%는 기타 대기 구성물질이죠.

    사람이 생활하는데 산소농도가 높으면 과산소농도로 낮으면 저산소농도로 인해 삶이 불가능하죠.

    이에 대기구성물질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