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09.23

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어떤 날을 보면 춥지 않은 날에도 갑자기 비가 아니라 우박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던데 왜 날씨가 춥지 않은 경우에도 우박이 떨어지나요?

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우박과 눈은 다른 방법으로 형성되어 내리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우박의 경우 구름 내부에서 공기의 상승 기류에 의해서 얼음이 얼고 녹는 것을 반복하여 생성되는데 이 상승 기류는 추운 날씨가 아니라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수증기가 응결 및 달라붙으며 얼음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얼음이 중력한계로 낙하하는 것이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비가되어 내리기 직전의 물방울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 구름속으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집니다.

    구름 위쪽으로 가면 기온이 낮아서 물방울 형태 그대로 얼어붙고, 근처로 다른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들이 달라붙어 얼음의 크기가 점점 커집니다.

    얼음이 커지다가 상승기류를 이겨낼정도로 무거워지면 그제서야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내리는동안 녹지 않게되면 그대로 얼음형태로 떨어지는 우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만들어지는 높은 하늘은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공기 중에 빙정이라는 아주 작은 얼음 결정이 떠다닌다. 이 얼음 결정은 근처의 수증기또는 과냉각 물방울을 흡수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는데,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들은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평소대로라면 이 얼음 조각은 매우 작으므로 떨어지면서 녹아 비가 되는데, 지상의 기온이 낮아 미처 녹지 못하면 눈이 된다. 애매한 경우 진눈깨비가 된다.



    문제는 이 얼음 결정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났을 때이다. 이 경우 이 얼음 결정은 떨어지다 말고 상승기류에 떠밀려 올라가서 계속 수증기를 흡수하며 점점 더 굵어진다. 하지만 얼음 조각이 계속 몸집을 불려 나가면 나중에는 떨어지는 법이다. 그러다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상승기류로도 더 이상 올릴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면 그제야 이 얼음 덩어리는 녹지도 않고 지상으로 덩어리째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이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의 빙정에서 눈이 만들어지고, 충분히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일 이대로 지상까지 내려오면 눈이 되고 중간에 녹으면 비가 됩니다.

    하지만 구름 일부 영역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며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진 눈이나 빗방울은 다시 상층으로 상승하며 얼어버리고 얼어버린 물방울 표면에 추가로 수증기가 얼어 들러붙게 됩니다.

    그리고 상승기류를 이겨낼 정도로 충분히 성장하고 무거워지면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그대로 낙하한다면 작은 우박이 되지만 다시 상승기류를 타면 더욱 크게 성장하여 대형 우박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즉, 상승기류가 발생되어야 하기에 추운 날씨보다는 오히려 따뜻해서 대기가 불안정한 날 우박 발생율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되게 되는데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면 적란운이 발달되게 되고 구름층의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구름 안에서는 이러한 수증기들 즉 물방울들이 충돌 또는 융합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물방울을 형성하고 비가 내리게 되는데 고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대기에 얼음 결정체가가 생성되기 때문에 물방울에 얼음 결정체가 붙다보면 우박이 생성되고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의 상승 기류에 의해 형성됩니다. 상승 기류는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여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냉각되는 현상을 말합니다.상승 기류에 의해 대기 중의 수분이 냉각되면서, 수분이 얼음 결정체인 얼음 핵 주변에 응축됩니다. 이 때, 수분이 응축되는데 필요한 얼음 핵은 일반적으로 먼지, 소금 결정, 미생물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성된 작은 얼음 조각을 슈퍼쿨드롭이라고 합니다. 슈퍼쿨드롭 주위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얼음 조각이 점점 커지고, 다른 슈퍼쿨드롭과 결합하여 큰 우박 입자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일종의 얼음 층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됩니다.형성된 우박은 대기 중의 상승 기류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계속 성장합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됩니다. 이후 우박은 지표면에 도달하면서 우박으로서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녹아서 비나 눈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구름 속에서 생성되는 얼음 알갱이가 공기의 상승 기류에 의해 위로 올라가면서 녹았다가 다시 얼어붙으면서 커지는 현상으로 날씨가 춥지 않아도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내릴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