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rogermaan
rogermaan23.07.05

하늘에서 우박이 떨어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하늘에서 비가 오다가 기온이 떨어지면 눈이 오는데 때로는 우박 오더라고요 이렇게 우박ㅇ2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눈과 비교할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지상에 떨어 지는 지름 5mm 이상의 얼음덩어리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 우박은 상층과 하층의 기온차이가 크게 나는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며, 지상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출처 : 기상청 - 우박 판단 가이던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우박이 떨어지는 원리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이얼어서 형성되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는 얼음 결정의 형성을 돕는 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핵은 대기 중의 먼지, 소금 결정, 미생물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수증기는 이러한 핵 주위에 응축되어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의 수분이 서로 모여 구름을 만드는데 이때 주위의 온도가 낮으면아주 작은얼음 알갱이가 됩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일정 무게이상 모여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지는데 지상의 날씨가 추우면 눈이되고 따뜻하면 비가됩니다 땅으로 낙하하던 눈과 비가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 위로 올라가고 중력에의해 다시 떨어지다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올라가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다 일정크기 이상의 얼음덩어리가 되어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