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윤율할머니
윤율할머니22.10.29

10개월아기밤에자다우는데왜그럴까

10개월애기가 밤에잘자다가 한두번씩 악을쓰고우는데 왜그럴까요 일주일에 2~3번씩그러는데 유아도 자다꿈을꿔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점점 커가면서 활동 범위도 넓어지고, 활동량도 점점 많아지면서 나름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생길 것입니다.

    그래서 자다가도 소리를 지르거나, 울거나, 때론 꿈을 꾸기도 하니, 부모님께서는 당황해 하지 마시고 아이를 안아주고

    다독거려 주면 금방 잠이 들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의 활동이 아이가 잠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혹시 이는 났나요? 이앓이 일 수도 있어요. 이앓이가 아니라면 말씀 하신대로 꿈을 꿨을 수도 있고,

    자는 자세가 불편하거나 뒤집어서 자다가 눌려서 팔에 쥐가 났을 수도.. 이유는 많아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0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 자던 아이가 갑자기 비명을 지르며 잠에서 깨는 증상이 반복된다면 야경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야경증은 수면 중 갑작스런 공포·불안감을 느껴 잠에서 깨는 증상으로, 잠들고 2시간 뒤, 또는 깊은 수면 상태에서 많이 발생한다. 주로 5~7세 남자 아이에게 나타나지만, 여아에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야경증이 있는 아이는 눈을 뜨고 소리를 지르지만 아직 잠을 자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면 오랫동안 울음을 멈추지 못하고 비명을 지르거나, 팔을 휘젓고 몸부림치기도 합니다. 야경증 원인에는 스트레스와 낮 시간 과도한 활동, 수면부족, 감정적 긴장상태, 불안·공포 경험 등이 있습니다. 뇌의 수면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 같은 영향을 받으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수면 중 무의식 중에 울거나 우는 등의 감정표현을 하거나 누군가

    대화를 하는 경우는 흔한 일입니다.

    그 원인에 대하여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낮 시간대에 불안한 감정을 느꼈거나

    잠을 자는데 꿈을 꾸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낮시간대 불안한 감정을 가진 상황에서 수면시 표현되는 경우는 아이를 꼭 안아 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가 잠잠해져 다시 수면에 들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장통일가능성도 있으며

    악몽을 꾸거나 하는경우일수도 있습니다

    이러햔 요인은다양하게 나타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도 자다가 꿈을 꿀 수도 있고 배가 고파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장통으로 인하여 그럴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

    평소에 잠드는 환경에 수면을 방해하는 소음은 없는지,
    조명이 밝지는 않는지, 주변의 정돈은 잘 되어있는지 등의
    수면 환경을 우선 한번 검토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직 낮잠을 자야겠지만 시간을 조금씩 줄여 보고
    낮 동안 충분히 활동해서 밤에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수면 습관의 문제인 경우가 가장 많겠지만,
    때로는 철분이 충분하지 않아 빈혈이 동반 되었거나
    야경증으로 인해 수면이 방해되기도 합니다.

    아이가 잘 잘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시되,
    증상이 지속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0개월 정도 아이가

    밤에 잘자다가 악을쓰고 우는 것은

    야경증에 해당되는 증상으로 보이네요

    이러한 경우에는 아이와 스킨쉽을 많이하시는 것이

    긴밀한 친밀도를 높이시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아 야경증으로 생각되네요

    야경증은 특별한 원인이나 치료법이 없고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자주 발생합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해주시는 것이 좋ㅇ르 것ㄱ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