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준진정
준진정22.04.05

우리나라 인공위성 갯수 얼마나 되나요?

세계의 모든 나라가 우주에 대한 관심이 많고

많은 나라가 우주에 인공위성을 발사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우주로 인공위성을 발사한 인공위성 갯수는 몇개나 되는지

그리고 인공위성 이름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승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쏘아올린 인공위성의 갯수는 현재기준 총 24개입니다.

    24개 중 임무종료된 인공위성은 8개이며, 현재 운영중인 인공위성은 16개 입니다.

    참고로 큐브위성(초소형)은 아마추어 또는 연구실 규모의 인공위성으로 발사되었기에 공식인공위성으로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인공위성의 이름과 종료별로 표기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또한 나로과학위성(고흥)을 제외한 모든 위성은 해외에서 발사되었습니다.

    ㅇ 소형위성(100~500㎏)

    • 우리별 위성 : 1호(1992–2004), 2호(1993–2002), 3호(1999–2002)

    • 과학기술위성 : 1호(2003–2004), 나로과학위성(2013–2014), 3호(2013–현재) / 실패(2호)

    • 차세대소형위성 : 1호(2018–현재)

    ㅇ 중형위성(500~1000㎏)

    • 아리랑 위성 : 1호(1999–2008), 2호(2006–현재), 3호(2012–현재), 5호(2013–현재), 3A호(2015–현재)

    • 차세대중형위성 : 1호(2021–현재)

    ㅇ 군사위성(군사 목적으로 쓰고 있는 인공위성)

    • 아나시스 2호(2020–현재)

    ㅇ 통신위성(통신이용을 목적으로 쏘아 올린 정지위성)

    • 무궁화 위성 : 1호(1995–2005), 2호(1996–2015), 3호(1999–현재), 5호(2006–현재), 6호(2010–현재), 7호(2017–현재), 5A호(2017–현재))

    ㅇ 정지궤도위성(위성의 궤도주기와 지구의 자전주기가 동일)

    • 천리안 위성 (1호(2010–현재), 2A호(2018–현재), 2B호(2020-현재))

    ㅇ 큐브위성(부피 1리터(10 cm*10 cm*10 cm), 질량 1.33kg을 넘지 않는 초소형 인공위성)

    • OSSI-1, KHUSAT-01, KHUSAT-02, KHUSAT-03


  • 안녕하세요. 배영광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사한 인공위성의 수는 약 10개이며,

    각 위성의 이름은 우리별 1호, 우리별 2호, 우리별 3호, 과학 위성 1호 과학 위성 2호, 나로 과학 위성, 아리랑 1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 천리안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인공위성의 개수는 16개 정도이며

    무궁화, 우리별, 아리랑, 과학기술위성 등 여러가지 이름이 있습니다.

    아래 문서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C%9D%B8%EA%B3%B5%EC%9C%84%EC%84%B1_%EB%AA%A9%EB%A1%9D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우연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인공위성 2666개 중 절반에 가까운 1327기를 운용하고 있다. 한국은 16기로, 중국(363기), 러시아(169기), 일본(80기), 인도(60기)보다 점유율이 크게 낮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인공위성 갯수는 10개 정도 됩니다

    우리별 1호 우리별2호 우리별3호

    과학 위성 1호 과학위성2호 나로 과학위성

    아리랑 1호 아리랑 2호 아리랑3호 천리안입니다

    우리별 1호는 카이스트 최순달교수님의 외 10명과 외국기업과 했고 우주방사 실험을 한답니다

    우리별2호는 1호를 토대로 순수 국내개발했고 국내기업참여했다고 합니다

    대단한 발전했구요 지구촌관측과 통신 실험등등 기술이 들어갔답니다

    나로과학위성은 과학 위성1호 2호 토대로 만들어졌고

    고도 300 km, 원지점 고도 1500km를 약 103분마다 한바퀴씩 지구를 돌며 위성의 궤도진입 확인 및 우주공간의 환경 탐사를 목적으로 만들어 졌으며

    우주의 방사선 우주 이온을 측정합니다

    아리랑 1호는 한반도 해양자원 및 해양관측에 쓰이며

    아리랑 3호는 화산폭발 재난 감시에 쓰이며

    천리안은 , 해양관측 기상관측에 쓰이며

    세계 7번째로 기상관측위성 보유국이 되었습니다

    항상 좋은 일만 가득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은 한국항공우주연구기관에 따르면 16기를 운용하고있습니다.

    이름으로는 아리랑 무궁화 우리별 올레 등등 다양한이름을 가지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