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긴장하고 있다가 긴장이 풀리면 왜 졸린걸까요??

어제 그제 처음 업무하는거라서 너무 집중하다가 오늘 아침에 완전 잘 마무리 했는데요. 그러고 나니깐 완전 졸리고 힘들던데...어떤 원리로 그런걸까요?? 긴장하고 있다고 긴장이 풀려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긴장 상태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분비되어 근육의 긴장을 유지하고 몸을 깨어 있게 합니다. 그러나 긴장이 풀리면 코티솔 분비가 감소하며, 이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신경 시스템의 조절: 긴장 상태에서는 신경 시스템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몸이 경계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긴장이 풀리면 신경 시스템이 조절되어 몸이 더이상 경계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절 변화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에너지 소모: 긴장 상태에서는 몸이 에너지를 소비하여 지속적인 경계 상태를 유지합니다. 긴장이 풀리면 몸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하고, 이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긴장이 풀려서 그런 것일 수도 있습니다. 긴장을 하면 뇌의 전두엽이 활성화되어 집중력과 사고력을 높입니다. 그러나 긴장이 지속되면 뇌가 피로해지고, 졸리고 힘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집중을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집중을 하면 뇌에서 많은 양의 신경전달 물질이 분비되고, 이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따라서 집중을 많이 하면 에너지가 부족해져서 졸리고 힘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업무를 마무리하면서 쌓인 피로감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업무를 마무리하면서 뇌와 몸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피로감을 유발하고, 졸리고 힘든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긴장을 한다는것은 몸이 경직되어 피로가 쌓이고 그만큼 예민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긴장이 풀리면 몸이 이완되면서 뇌의 피로도 풀리면서 잠이 몰려올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긴장하게 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 됩니다 (흥분된 상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각성상태가 되면서 잠이 깨게 되고, 긴장이 풀리면 반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졸리고 피곤해질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