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29

소련의 해체 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의 사회주의 국가는 이후 어떻게 민주화를 이뤘나요?

소련이 해체되고 여러 나라가 독립되면서 기존 공산주의 체제를 따르던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의 국가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민주주의화 됐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의 민주화 과정은 1989년 공산주의가 전복하고 민주주의로 전환한 국가입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89년 11월 17일 평화적인 학생 시위에 경찰이 공격한 것을 계기로 '벨벳혁명'이라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반체제 운동가인 바츨라프 하벨을 비롯한 시민 포럼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시위의 압력에 견디지 못한 공산당 지도부는 사임했습니다. 12월에는 하벨이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비공산당 정부가 구성되었습니다. 1990년 6월에는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습니다.

    헝가리는 1988년에는 임레 포즈가 총리가 되고,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폐지하고, 다당제 도입, 시장 경제 전환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1989년에는 공산당이 자체 해산하고, 새로운 사회민주당을 결성했습니다. 1989년 10월에는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민주주의를 수용하는 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1990년 3월에는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습니다.

    폴란드는 1988년에는 연합당이 주도한 대규모 파업이 일어났습니다. 1989년에는 공산당과 연합당이 라운드 테이블 회담을 개최하고,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폐지하고, 다당제를 도입하고, 상원을 설치하는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1989년 6월에는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고, 연합당이 압승했습니다. 1989년 8월에는 타데우시 마츠레비치가 비공산당 정부의 총리가 되었습니다. 1990년 12월에는 레흐 바웬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