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05

서울 시내에 지하철이 처음 개통된 것은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현재 서울 시민은 매일 같이 지하철을 이용중인데 지하철이 언제 처음으로 개통 하였으며 어느 노선이 제일 처음 개통 되었는지 그 역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4년에 1호선의 경우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지만 지하철 1호선이라고 해서 지하에서 운행했지만 사실 1호선이 개통할 때부터 경인선과 직결로 연결해서 운행했다. 이 경인선 지상구간을 '국철'이라 해서 지하철과 구별[3]하기도 했지만 사실 하나의 노선이었고, 뒤이어 개통된 2호선도 1980년에 최초 개통된 신설동역 ~ 종합운동장역 구간이 대부분 지상고가도[4]였다. 때문에 70년대부터 80년대초까지는 지하철이라는 표현보다 전철이라는 표현이 더 널리 쓰였다. 이후 1985년 3, 4호선이 대부분 구간이 지하로 개통[5]했지만 역시 연장[6] 또는 국철구간과 직결[7]되면서 지상구간이 늘어갔다.

    출처: 나무위키 도시철도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地下鐵 1號線)은 1974년 8월 15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의 한 노선이자 아시아 4번째(1번째: 일본 긴자선(1927년), 2번째: 중국 베이징 지하철 1호선(1969년), 3번째: 북한 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1973년)),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출처 - 나무위키 서울지하철 1호선


  • 서울 지하철의 첫 노선인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에 개통되었습니다. 이 노선은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지의 7.8km 구간으로 시작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확장되었습니다.

    이러한 지하철 개통은 대한민국의 빠른 도시화와 산업화를 반영한 것이었으며, 수도권 내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시민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해주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서울 지하철이 1호선부터 9호선, 그리고 여러 개의 분기선과 지역선을 포함한 방대한 철도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효율적인 대중교통 체계로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좋은 질문이군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3년 4개월 걸 1974년 8월 15일 개통한 지하철 1호선은 청량리-서울역간 역사적 첫 운행을 시작으로 지하철시대를 열었고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교통난의 해결책으로 1964년 서울에 ‘단기적으로 버스 증차, 중기대책으로 전차 철거, 장기적으로 지하철 건설’을 계획했으나 막대한 재정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실행되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1970년, 정부는 외자 94억, 내자 230억 원을 투입하여 도심에 지하철을 건설하고 근교 철도를 전철로 개량하는 광역 수도권 고속전철사업을 발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울 지하철은 1974년에 서울역부터 청량리까지 개통된 1호선이 최초라고 합니다. 그 이후 2,3,4 순서로 확장했으며 2000년 들어와서 구칙성이 없던 노선들을 정리해 보다 확실한 수도권 전철 체계가 정립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