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5세 남자아이 고집을 어떻게 꺽을 수 있을까요?

첫째 딸은 말로 설득하면 설득이 되었는데 둘째 아들은 도저히 설득이 안되네요.

혼내도 계속 삐진상태고.. 어떻게 고집을 안부리게 설득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둘째 아이가 고집이 심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첫째와 둘째의 기질이 다른 것 같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안통할겁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고집을 피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서 마무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고집이 센 아이들은 보통 자기 주관이 뚜렷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기질의 아이들은 특히 감정을 잘 공감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고집을 왜 피우는지에 대한 원인 파악이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의 감정을 우선적으로 누그러뜨려야 하는게 첫번째 우선 과제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감정을 다독여주고 난 다음에 아이와 이야기를 해보면 훨씬 더 대화하는 게 수월해집니다. 그리고 절대 화를 내거나 다 같이 치시면 안됩니다. 오히려 그럼 아이들의 고집이 더 세질 수 있기 때문에 차분한 어조 속에서 단호함을 유지하시고 안 되는 것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선을 긋고 대처하셔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고집을 부리고 떼를 쓴다면 무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을 부린다면 단호함게 고집을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고집을 부리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그리고 훈육은 누나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해주시는 것이 좋겠구요.

    아이를 훈육하기 전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시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었다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하신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공감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혼을 내기보다 억울함이 있거나 하는감정에 대해서 공감해주고 이후에 훈육을 해주시면 좋을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예전부터 고집이 쎘나요?

    예전에는 그렇치 않았는데 최근에 고집이 쎄졌다면, 주변 환경을 점검해야 합니다

    아이가 낮 동안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이 있는지 살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고집이 일정시기에 세집니다. 성장과정에 따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시기에 아이의 고집을 꺽는 것보다는 아이와 대화를 자주 시도하여

    아이 심리안정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정도 성장하면 고집이 줄어들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리면

    이에 대해서 무반응을 보여주셔서

    스스로 포기하도록 하시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리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들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아이의 고집을 꺽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의 고집을 부모의 강요에 의해서 꺾으려고 하면 아이는 더 쎈 고집이 생길 수 밖에 없답니다

    일단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시고, 천천히 설득하고 이해를 시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