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3.19

6살되는데, 고집을 부리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기 주장을 강하게 펼치고 고집을 부리기 시작하는데요,

이야기 해도 듣지 않고, 소리를 질러도 도통

말을 듣지 않네요~

어떻게 훈육을 하고 이야기를 해야할까요?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6살은 자기 주장이 강할때입니다.고집부리고 소리를 지를때는 잠시 침묵하시고 아이가 진정이 될때까지 기다려 주세요.울고 떼를 쓴다고 들어주고 하면 아이의 행동을 개선 할 수가 없습니다.감정이 진정이 되고 나면 자신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세요.그럴때 부모님으로 부터 도움을 받을 수있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을 알게 해주세요. 규칙적으로 반복을 하게 되면 아이는 조금씩 개선이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리니 화도 나고 걱정이 많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떤 대화를 시도해도 말이 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려줍니다.

    그냥 그 행동에 반응하기 보다는 모른척 하는거죠.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 보면 오히려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닌 것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이야기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히 반복 해 주셔야 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고집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수동적이었던 아이들이 세상에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허용되는 고집과 허용할 수 없는 고집의 구분이 정확하고 아이에게 항상 일관성 있기 대처해주신다면 아이는 바람직한 고집을 부리면서 자율성과 자아 정체성을 바르게 키울 수 있습니다.

    일단 고집을 부릴 상황 자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린다면 어떠한 상황에서 떼를 쓰는지 수첩에 적어주세요 일주일 열흘쯤 지나면 대략 상황이 나오고 그 상황자체를 만들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허용해야 할 것은 확실하게 정해주세요 예를 들어 책을 찢고 노는 것에 자신의 주장을 내세운다면 책을 찢고 노는 것은 절대 안되지만 신문지는 찢고 놀아도 된다는 사실을 아이가 알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금지할 것은 금지하고 허용할 것은 허용해 주세요 아이도 엄마의 규칙을 알고 따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려도 절대 흥분하시면 안됩니다.

    화를 내는 엄마에게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고집의 강도는 점점 세집니다. 항상 평상심을 유지하시고 흥분하거나 화를 내지 마세요

    가장 즁요한 것은 일관성 있는 훈육입니다. 때론 융통성 필요합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대처하는 행동을 항상 같은 방법으로 유지해주세요

    어떤 때는 엄마가 고집을 조금 부렸는데 바로 들어주고 어떤때는 무시하거나 어떤때는 크게 화를 내고 이러한 모습을 보이신다면 아이는 엄마의 대처법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한가지 방법을 정한 후 고집을 부릴 때 어떤 행동을 해야할 지 방법을 정한 뒤 계속해서 그 방법만 사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고집부리는 이유에 대해서 아이의 속마음을 물어보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억지를 부리거나 울고 떼쓰는 것에는 무관심으로 대응하는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평소 자주 대화나누며 속마을을 말로서 표현하는 훈련을 꾸준히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도연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와 감정충돌이 생겼을 경우 아이에게도 감정을 진정시킬 시간이 필요합니다. 생각하는의자 같은 공간을 정하셔서 아이에게 앉아서 마음이 진정되면 너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엄마와 아빠가 들어주겠다고 말씀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이 강한아이의 훈육은 기다림과단호함이중요합니다

    감정은 기다리고 문제행동은단호하게 이야기하는것을 베이스로 훈육을해주는것이 서로에게 긍정적시너지를줄수있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많이 피울때는 어떤 말도 통하지 않습니다

    이럴떈 기다림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감정을 진정시키도록 아이와 심호흡을 하거나 혹은 혼자서 생각하고 기다리는 자리를 마련해주는것도 좋으며

    감정을 스스로 진정시키도록 한 후 훈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엔 자기 주장이 강하기 때문에 아이를 소리를 질러서 겁을 주거나, 혼을 내서는 안됩니다.

    아이의 말을 귀 담아 듣고, 의견을 존중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다 지나가는 시기이므로,우리 아이가 많이 성장 했구나 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 시기만 지나면, 다시 사랑스런 아이로 돌아올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을 부리는 아이를 훈육하실 때는 정말 제지 해야 하는 일인가? 엄마가 과잉통제를 하는건 아닌지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물론 아이가 말을 듣지 않으면 엄마는 순간적으로 통제를 하게 됩니다.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면 아이는 반항적인 아이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자율성을 키워야 합니다.

    아이를 훈육하실 때는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입장에서는 욕구가 제한되어 떼를 쓰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의 좌절된 마음을 읽어주고 공감해주셔야 합니다.

    훈육할 때는 일관성을 유지해 주셔야 합니다.

    짧고 엄하게 말하시는 것이 중요하구요, 낮고 강경한 목소리로 아이에게 안된다는 것을 일러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을 부리는 아이의 경우 허용된 고집과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자신에게 위험한 행동 등의 허용되지 않는 고집을 구분하여 훈육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정도 허용된 고집은 아이의 자존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