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어디고
어디고

S&P500이 많이 떨어질때는 어느정도 떨어지나요? 사례가있나요?

S&P500 은 지수추종이기 때문에 여유날때마다 주가를 신경쓰지말고 적립식으로 사는게 좋다고들 하더라고요 근데 제가 보기에는 아무리그래도 가장 전고점일때 계속 사는건 너무 비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S&P500이 폭락했을때가 있나요? 몇%정도 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공황때가 가장 역사적으로 클때입니다. 최대 낙폭이 -83.4%로서 1929년 9월 → 1932년 6월까지 이어져왔고 1954년에야 1929년 고점 회복을 하는 무려 25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되었습니다.

    그다음은 흔히 말하는 닷컴버블붕괴로서 최대낙폭은 -49.1% 로서 2000년 3월 → 2002년 10월까지 이어져왔습니다. 2007년에 2000년 고점 회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도 대표적으로 2007년 10월 → 2009년 3월까지 최대낙폭은 -56.8%가 발생되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S&P 500 지수는 많이 떨어지면 얼마나 떨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S&P 500 지수는 지난 1970년 무려 21퍼센트가 빠지는

    그런 일도 있었고 지난 2022년 상반기에도 무려 20.6퍼센트가 빠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S&P500이 하락장이라고 평가할 때는 고점대비해서 20~30%까지 하락할 때를 말합니다

    •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 급등 이후 나타났던 적이 있었습니다

    • 이번에도 큰 상승을 하고 있는데 주식시장에는 항상 조정장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투자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폭락이라고하면 단계적으로 약 30%가까이 나옵니다.

    이전에 그래프를 보아도 대부분 그정도 빠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래도 오른 것에 비하면 그렇게 높은 수치가 아니고 거기에 빠르게 회복하는 것이 특징이라 결국 우상향하는 그래프가 형성되어 사람들이 투자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s&p500과 같은 경우에도

    대형주들의 중심이긴하나

    20%~30% 하락을 보이기도 하는 등

    큰 폭의 하락을 하기도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P500은 과거에 당연히 폭락했던 적이 있고, 특히 1987년 '블랙 먼데이' 때는 하루 만에 20.5%나 떨어졌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S&P 500은 금융위기 때 50%이상 하락한 적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꾸준히 회복했습니다.

    적립식 투자는 타이밍보다 시간 분산이 핵심이므로 변동구간에서도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지수는 떨어져도 크게 하락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평균화되어 무겁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리먼브라더스 사태나, 911사태, 그리고 코로나 사태 등에는 큰 지수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지수의 하락의 경우 종목의 하랏이 발생했다고돛볼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