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비가 오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지렁이는 꼭 비가 온 다음날에 땅에서 많이 보이던데요, 비가 오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렁이가 숨을 쉬기 위해서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하는데, 비가 많이 내리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흙 사이사이에 있던 공기 구멍을 물이 가득 채우게 되고 산소가 부족해지며 지렁이의 호흡을 방해하게 되죠.

    그래서 살아남기 위해 산소가 더 풍부한 땅 위로 올라와 숨을 쉬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호흡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폐가 아니라 피부로 호흡을 하는데,

    비가 많이 와서 흙속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호흡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질식사를 막기 위해 땅 위로 올라와서 호흡하게 됩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가장 주된 이유는 빗물이 흙 속의 공기층을 막아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산소를 흡수하는데 비가 많이 와서 토양 내부가 물로 가득 차면 산소 공급이 차단되므로 질식을 피하기 위해 지상으로 탈출하는 생존 본능이 작용합니다. 또한 비가 오는 습한 환경에서는 피부가 마르지 않아 지상에서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짝짓기를 하거나 새로운 서식지로 이주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비가 오면 지표면이 물에 젖어 공기를 차단되어 지렁이의 호흡을 방해합니다. 지렁이는 진동 등을 통해 비가 오는 것을 인식해 호흡을 위해 지표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지렁이가 비가 오는 날이나 비 온 직후에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지렁이가 숨을 쉬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폐가 없고,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는 피부호흡을 하는데요, 하지만 비가 오면 토양 속에 물이 차면서 빈 공간에 있던 산소가 크게 줄어듭니다. 즉 공기가 많은 흙은 산소가 충분하지만 물로 젖은 흙은 산소가 거의 없어지며 이 때문에 지렁이는 저산소 상태를 피하기 위해 지상으로 올라옵니다.

    또는 지렁이는 땅의 진동을 포식자인 두더지 접근 신호로 이해하기도 하는데요, 비가 내릴 때 지면에 떨어지는 빗방울이 두더지가 파고오는 진동과 매우 비슷한 패턴을 만든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게다가 지렁이는 몸이 마르지 않아야 이동할 수 있는데, 비가 오면 지면이 촉촉해져서 멀리 이동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즉 평소에는 마른 땅 위가 위험해서 올라오지 않지만, 비 오는 날은 익사 위험보다 장거리 이동의 이점이 커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