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증은 왜 나타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왜 나타나게 되는것이며, 완치치료가 가능한 질병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멈추거나 호흡이 감소해 자주 깨는 수면 호흡 장애로 수면 중 호흡 시 상기도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가장 흔합니다.
상기도 폐쇄를 유발 하는 요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만일 경우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주나 안정제 섭취를 피하는 노력을 해볼 수 있겠으나 효과는 제한적으로 성공률이 낮으므로 양압기, 구강장치, 수술 등의 치료와 동반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잠자는 동안에 숨을 쉬지 못하는 증상을 말하며, 폐쇄형, 중추형, 혼합형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이 중 가장 흔한 형태는 폐쇄형이며, 중추형은 드물고 혼합형은 두 형태가 함께 나타나는 것입니다.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은 대부분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비만으로 인해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이 비대해지면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도 자주 발생하며, 인두 주변 근육의 기능 문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소아의 경우 편도와 아데노이드 비대가 주된 원인입니다
폐쇄형 수면 무호흡증은 상부 기도의 폐쇄로 인해 잠자는 동안 숨이 반복적으로 정지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혈액의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고 수면 중 깨어나는 일이 생깁니다. 중추형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모든 호흡 노력을 중단시키는 신경학적 장애로 정의되며, 이는 주로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감소시킵니다. 혼합형 수면 무호흡증은 처음에는 중추형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폐쇄형으로 바뀌는 특징을 가집니다. 전문가들은 10초 이상 계속되는 무호흡이 1시간에 5번 이상 반복될 때 이를 임상적으로 중요한 상태로 봅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은 주로 병력과 증상, 신체 검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확한 수면 평가를 위해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과 호흡 보조 장치가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지속적 양압 호흡(CPAP) 장치입니다. 이외에도 바이팹(BiPAP)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구개 성형술, 코 수술 등이 있습니다. 무호흡증이 심한 경우에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